孫子兵法 BC6세기경 孫武 齊國人 吳國王 闔閭의 軍師


計篇第一 ``````````1. 헤아림 전쟁에 앞서의 판단사항


作戰篇第二 ``````2. 꾸며냄 전쟁에 임하여 해야 할일


謀攻篇第三 ``````3. 꾀함 싸움 않고 이기기


形篇第四 ``````````4. 갖춤 질 수없는 모양 갖춤


勢篇第五 ``````````5. 지님 이기는 자세를 지님


虛實篇第六 ``````6. 비움과 채움 유리하게 이끔


軍爭篇第七 ``````7. 다툼 먼저 누른다


九變篇第八 ``````8. 아홉의 바뀜 상황에 대처하라


行軍篇第九 ``````9. 군대를 움직임 나아가고 물러나기


地形篇第十 ````10. 땅의 모양 땅 알아보기


九地篇第十一 11. 아홉의 땅 땅에 따라 맞추기


火攻篇第十二 12. 불로 공격 불의 사용


用間篇第十三 13. 간첩을 씀 간첩의 활용


※武經七書 : 孫子齊孫武 吳子魏吳起 司馬法齊司馬穰苴


尉繚子周尉繚 六韜周呂望 三略漢黃石公 李衛公問對唐李靖


※五事 知之者勝 不知之者不勝


道 : 與民同意


天 : 陰陽 寒暑 時制


地 : 高下 遠近 險易 廣狹 死生


將 : 智 信 仁 勇 嚴 

 

 

法 : 曲制 官道 主用

 

 

 

計篇第一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1. 헤아림 전쟁에 앞서의 판단사항 


孫子曰 兵者 國之大事`````` `````````孫子이르길 兵이란 나라의 大事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군대의 일이란 나라의 큰일이다

死生之地 存亡之道``````````` `````````삶과 죽음의 處地이며 存亡의 道路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道路分岐`````````````````````삶과 죽음의 자리이며 있고 잃고의 갈림길이다

``五事 不可不察也 故經之以五```` ````````不可不살핀다 故로 다섯으로 經이된다

`````````````살필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살피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다섯으로 가르친다

校之以計 而索其情````````````````````헤아려 이를 살펴 그 情을 찿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찾을색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헤아려 살펴서 그 뜻함을 알아낸다

一曰道 二曰天 三曰地````````````` 하나는 道 둘은 天 셋은 地

(五事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나는 길이요 둘은 하늘이요 셋은 땅이요

四曰將 五曰法`````````````````` ``````````넷은 將 다섯은 法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넷은 장수요 다섯은 지킴이다

道者 令民于上同意者也`````````` `道란 民으로 하여금 上에 同意하는 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길이란 백성으로 하여금 위로부터의 뜻에 같이 함이다

可與之死 可與之生 民不詭也 `함께 죽고 함께 살아 民이 속지 않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속일궤```` 더불어 죽고 더불어 살아 백성은 속지 아니 한다

天者 陰陽 寒暑 時制也 ``````````````天이란 陰陽 춥고 덥고 때에 맞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늘이란 볕과 그늘 춥고 더움 그리고 때에 맞춤이다

地者 高下 遠近 險易 `````` ``````````地란 높고 낮음 멀고 가까움 險과 易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쉬울이`````````````````````땅이란 높고 낮음 멀고 가까움 힘듦과 쉬움

廣狹 死生也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넓고 좁고 죽고 삶이다

``좁을협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넓고 좁고 죽고 삶이다

將者 智 信 仁 勇 嚴也`````` `````````將이란 智慧 信念 仁慈 勇敢 威嚴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란 슬기 믿음 어짊 날쌤 의젓함이다

法者 曲制 官道 主用也```````````` 法이란 굽은 制度 官吏의 道 主君의 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지킴이란 굽히게 함과 부리는 길과 제대로 씀이다

凡此五者 將莫不聞 `````` `````````````무릇 이 다섯은 將이 듣지 않을 수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다섯은 장수가 듣지 않을 수 없다

知之者勝 不知之者不勝 ``` ```````이를 알면 이기고 이를 모르면 진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알면 이기고 이를 알지 못하면 못 이긴다

故校之以計 而索其情 ````````````` 故로 헤아려 이를 살펴 그 情을 찾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헤아려 살펴서 그 뜻함을 찾는다

``七計 曰 主孰有道 將孰有能 ```````````````일러 어느主 道있는지 어느將 能있는지

````````누구숙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일러 어느 임금에게 길 있는지 어떤 장수 할 수 있는지

天之孰得 法令孰行 `````````````````````天은 누가 얻었는지 法令은 어떻게 行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늘은 언제 얻었는지 지켜 시킴은 어떻게 되가는지

兵衆孰强 士卒孰練 `````````````````````兵衆은 누가 强한지 士卒은 누가 익혔나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는 어디가 강한지 군사는 얼마나 익혔는지

賞罰孰明 吾以此知勝負矣`````` 賞罰은 누가 밝은지 이로서 勝負를 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주고내림 어디가 밝은지 이로서 나는 이기고 짐을 안다

將聽吾計 用之必勝 留之````````` 將次 내 計를 듣고 用兵하면 必勝이니 남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앞으로 내 헤아림 들어 군사 쓰면 반드시 이겨 나 남고

將不聽吾計 用之必敗 去之````` 將次 내計를 안듣고 用兵하면 必敗니 간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앞으로 내헤아림 안 들어 군사 쓰면 반드시 져 난 간다

計利以聽 乃爲之勢 以佐其外 `들어 有利함 곧 勢가 되고 그 外도 도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들어 남음을 꾀해 곧 힘이 되고 그 밖에도 도움이 된다

勢者 困利而制權也`````````````````` `勢란 利로움이 困難하나 權益을 만듦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이란 남음이 떨어져도 무게 실리게 함이다

``十四 兵者 詭道也 故能而示之不能```兵이란 속임의道 能함을 能하지 않게 보임

`詭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일은 속임의길 그래할수있음을 할수없게보임이다

用而示之不用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쓰이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쓰이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임이다

近而示之遠 遠而示之近 ````````````가까우나 멀게 보이고 머나 가깝게 보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까우나 멀리 보이게 하고 머나 가깝게 보이게 한다

利而誘之 亂而取之 `````````````````````有利하면 誘引하고 混亂하면 取得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을만 하면 이를 꼬이고 어지러우면 이를 얻음이다

實而備之 强而避之 ``````````````````````實하면 準備하고 强하면 避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피할피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꽉 차면 이에 갖추고 굳세면 이에 벗어난다

怒而撓之 卑而驕之 `````` `````````````憤怒하여 어지럽고 낮아도 驕慢하다

``````어지러울요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성내면 이에 어지러운듯하고 낮아도 이에 잘난체한다

佚而勞之 親而離之 `````` `````````````편안하면 勤勞하고 親하면 떠난다

편안할일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느긋하면 힘쓰는 듯 하고 사이 가까움은 떨어진 듯 한다

攻其不備 出其不意 `````````````````````準備 안됨을 攻擊하고 뜻하지 않게 나간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갖추지 않음을 치고 뜻하지 않게 나간다

此兵家之勝 不可先傳也 ````````````이는 兵家의 勝利라 먼저 傳達할 것이 없다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군사일 함의 이김이라 알림에 앞세울 것이 없다

夫未戰而廟算勝者 得算多也 ` 대저 안 싸워 算해 이김은 算 얻음이 많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안 싸워 셈 점쳐 이김은 셈 얻음이 많음이다

未戰而廟算不勝者 得算少也 ``안 싸워 算해 못 이김은 算얻음이 적음이다

````````````````사당묘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안 싸워 셈 점쳐 이기지 못함은 셈 얻음이 적음이다

多算勝 少算不勝 ``````````````````````````많은 算은 이기고 적은 算은 못 이긴다

`````````````(而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많은 셈은 이기고 적은 셈은 못 이긴다

而況於無算乎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況且 勝算이 없다면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물며 이길 셈이 없다면야

吾以此觀之 勝負見矣 ````````````````나는 이로서 觀察해 이기고 짐을 發見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는 이것으로 살펴보아서 이기고 짐을 알 수 있다



五事 : 道 天 地 將 法

七計 : 主孰有道 將孰有能 天之孰得 法令孰行

````````````兵衆孰强 士卒孰練 賞罰孰明



作戰篇第二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2. 꾸며냄 전쟁에 임하여 해야 할 일


孫子曰 凡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用兵의 법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군사 쓰는 방법은

馳車千駟 革車千乘`````````````````` `달리는 수레 천대 革車 천대

달릴치 네마리말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달리는 수레 천대 가죽 두른 수레 천대 兵器 軍需 補給

帶甲十萬 千里饋糧`````````````````` `帶甲 십만 千里의 食糧운송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먹일궤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갑옷 두른 병사 십만 천리에 이르는 식량의 옮김 兵站

則內外之費 賓客之用````````````````則 안팎의 費用 賓客의 쓰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안팎의 쓰임새 불러 모신 손의 쓰임

膠漆之材 車甲之奉````````````````````교칠의 材料 수레 갑옷의 소요 물품

아교교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붙이고 칠하고에 쓰일 감 수레와 갑옷에 드릴 돈

日費千金 然後十萬之師擧矣 ``하루비용 千金 然後 십만의 軍師 擧動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루쓰임 천금 그런 다음 십만의 군사를 움직임이다

其用戰也貴勝 久則鈍兵挫銳 ```그 싸움 씀 勝 貴하나 오래가 무뎌 꺾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딜둔 꺾일좌```` 그 싸움 씀에 이김 높이나 오래가 무뎌 날카로움 꺾임

攻城則力屈 久暴師則國用不足성공격에 힘 부쳐 오래사나운 師 國用부족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성 침에 힘부쳐 오래 내몰린 군대는 나라의 씀이 모자람

夫鈍兵挫銳 屈力殫貨`````````````` 대저 鈍兵 銳鋒 꺾임은 힘 굽고 財貨 다함

`````````````꺾일좌``````````` 다할탄``````````````````````` 대저 무뎌진 군사 날카로움 꺾임은 힘달려 돈떨어짐이다

則諸侯乘其弊而起``````````````````` `則 제후는 그 弊害에 便乘하여 蜂起한다

````````````````탈승 해질폐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여러 높은 이 그 해짐을 타서 일어난다

雖有智者 不能善其後矣```````````비록 智慧 있어도 그 後가 좋을 수만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비록 슬기롭다 해도 그 뒤가 좋을 수만은 없다

``拙速 故兵聞拙速 未睹巧之久也``````` 故로 兵에 拙速은 들어도 巧久 못 본다

`````````````서툴졸```````` 볼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군대 일에 얼른빠름 들어도 곱게 끔 볼 수 없다

夫兵久而國利者 未之有也````` `대저 兵難 오래가 나라利益 있지 않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싸움 오래 끌어 나라의 남음이란 있지가 않다

故不盡知用兵之害者``````````````` `故로 用兵의 被害를 앎 다하지 못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씀의 덜어빠짐을 다 알지 못함이다

則不能盡知用兵之利也``````````` `則 用兵의 利益을 앎 다할 수가 없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군사 씀의 더해 남음을 다 알 수가 없음이다

善用兵者 役不再籍```````````````````잘하는 用兵이란 兵役 다시하게 않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부적``````````````````````` 잘 쓰는 군의 일이란 군에 부름 다시하게 않는다

糧不三載 取用於國````````````````` `軍糧 세 번 싣지 않고 나라에서 取해 쓴다

`````````````실을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군량은 세 번 나르지 않고 나라에서 얻어 쓴다

因糧於敵 故軍食可足也````````` `敵에 糧食 있어 軍糧은 足할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군에게서 식량 얻으니 그래서 군을 제대로 먹임이다

國之貧於師者遠輸`````````````````` `나라의 가난함은 軍師 멀리 보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라 가난함은 군사 멀리 보냄이다

遠輸則百姓貧 近於師者貴賣 ``멀리보내 백성 貧함 군사 가까움 팜 貴히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멀리 보내 백성이 가난해지고 군사 가까워 팜을 높이 침

貴賣則百姓財竭``````````````````````` 팔아치움 貴히 여겨 백성의 財物 다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할갈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팔아치움 높이 쳐줌에 백성의 가진 것은 다 떨어지고

財竭則急於丘役``````````````````````` `財物 다하여 丘役에 急急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진 것 다 떨어져 힘든 일에 매달리고

力屈 財殫 中原內虛於家```````` `힘 굽고 財物 다하고 中原 內 家産이 虛해

```````````````다할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힘 빠지고 돈 떨어져 온 나라 안의 집안이 비었다

百姓之費 十去其七````````````````` ``百姓의 消費로 열에 일곱이 消去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백성의 써버림에 열에 일곱이 사라지고

公家之費 破軍罷馬````````````````` ``公家의 消費로 군사 破綻나고 말은 풀리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만둘파`````````````````````````` 높은 집안의 써버림에 군사는 흩어지고 말은 풀어지고

甲冑矢弩 戟盾蔽櫓````````````````` `갑옷 투구 화살 활 창 방패 방비 망루

투구주`쇠뇌노`창극`방패노`덮을폐```````````` 갑옷 투구 화살 활 창 방패 방비 망루

丘牛大車 十去其六````````````````` `소와 큰 수레 열에 여섯이 消去 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인 소와 큰 수레 열에 여섯이 사라진다

故智將務食於敵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智將은 敵에게서 食糧 뺏음에 힘쓴다

```````````````일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슬기로운 장수는 적에게서 식량 뺏음에 힘쓴다

食敵一鐘 當吾二十鐘``````````````` 敵의 食糧 일 鐘은 우리의 이십 鍾에 該當

`````````````쇠북종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의 먹거리 한 그릇은 우리의 스무 그릇에 맞먹고

芑秆一石 當吾二十石 `````````````````차조 一石은 우리의 二十石에 該當한다

차조기(말사료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차조 한 섬은 우리의 스무 섬에 맞먹는다

故殺敵者 怒也 取敵之利者 `````故로 敵죽임 怒함이요 적利얻음은 財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 적 죽임은 화냄이요 적의 남음을 얻음은 돈 됨이다

貨也 故車戰 得車十乘已上 ```` 故로 수레로 다퉈 수레 얻음은 열대 以上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수레로 다퉈 수레 얻음은 열대보다 이미 위다

賞其先得者 而更其旌旗`````````````먼저 얻음에 褒賞하고 그 깃발을 更新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기정``````````````````` 그 먼저 얻음을 기리고 그 깃발을 고쳐 씀이다

車雜而乘之 卒善而養之`````````````수레대로 싣고 兵卒 좋고 키움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수레대로 싣고 병졸을 잘 기름이다

是謂勝敵而益强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敵을 이기고 더욱 强해 짐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적을 이기고 더욱 굳세 짐이다

故兵貴勝 不貴久```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兵法에 勝利 貴重하고 遲久는 하찮음

````````````````````(兵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싸움에 이김을 높이고 오래 끔은 높이지 않는다

故知兵之將 民之司命 `````````````````故로 兵法 아는 將帥는 백성목숨 맡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싸움 아는 장수는 백성의 목숨을 맡음이다

國家安危之主也```````````````` `````````國家 安危의 主役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라의 안녕과 넘어짐을 맡은 으뜸이다



謀攻篇第三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3. 꾀함 싸움 않고 이기기


孫子曰 凡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用兵의 法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군사 쓰는 방법은

全國爲上 破國次之```````````````````나라 온전함이 最上 나라 깨짐이 다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라 온전함이 제일이요 나라 깨짐이 다음이다

全軍爲上 破軍次之`````````` `````````군대 온전함이 最上 군대 깨짐이 다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 온전함이 제일이요 군대 깨짐이 다음이다

全旅爲上 破旅次之````````````````` `부대 온전함이 最上 부대 깨짐이 다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부대 온전함이 제일이요 부대 깨짐이 다음이다

全卒爲上 破卒次之`````````` ``````````軍士 온전함이 最上 軍士 깨짐이 다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온전함이 제일이요 군사 깨짐이 다음이다

全伍爲上 破伍次之`````````````````````兵卒 온전함이 最上 兵卒 깨짐이 다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병사 온전함이 제일이요 병사 깨짐이 다음이다

是故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`` 이런 故로 百戰百勝은 좋지 않음의 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백번 싸워 백번 이김은 좋지 않음의 좋음이다

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``싸우지 않고 屈服시킴 좋음의 좋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움 않고 적군을 물림이 가장 좋다

故上兵伐謀 其次伐交```````` ````````故로 最上은 꾀를 침 그 다음은 사귐을 침

`````````````````꾀할모````````` 칠벌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맨 위는 꾀함을 침이고 그 다음은 사귐을 끊음

其次伐兵 其下攻城```````````` ```````그 다음은 兵을 침 그 아래는 城을 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다음은 군사를 침이고 그 아래는 성을 침이다

攻城之法爲不得已 修櫓轒轀 ` 城은 할 수없이 치고 망루와 수레를 고쳐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성은 할 수없이 치고 망루와 수레를 고쳐

具器械 三月而後成 距闉```` ``````기계 具備는 석 달 뒤에 되고 문밖에 와서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떨어질거 성곽문인`` 기계 갖추는데 석 달이 되고 문밖에 와서

又三月而後已 將不勝其忿`` `````또 석 달 지나 將帥는 그 忿을 못 이기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성낼분``````` 또 석달이 지나도 장은 그 분을 못이기고

而蟻附之 殺士三分之一`````` `````개미처럼 붙어 兵士의 삼분의 일을 죽이고

``개미의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개미처럼 붙어 군사의 삼분의 일을 죽이고

而城不拔者 此攻之災也`````````````城을 빼앗지 못함은 攻擊의 災殃이다

```````````````뺄발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빼앗지 못할 성을 쳐서 입는 큰 어려움이다

故善用兵者 屈人之兵而非戰也 兵 잘 씀은 屈服시킴이지 싸움이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병력 잘 씀은 남의 군사 꿇림이지 싸움이 아니다

拔人之城而非攻也````````````` ````````남의 城을 뺏어도 攻擊은 안함이다

뺄발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의 성을 뺏어도 성을 치지는 않는다

破人之國而非久也`````````````` ```````남의 나라를 擊破해도 오래 끌지 않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의 나라를 쳐부수어도 오래 끌지는 않음이다

必以全爭於天下 故兵不頓`` `` `必히 온전히 天下를 다툼에는 兵 다침 없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조아릴돈```` 반드시 온전히 천하를 다툼에는 병사의 다침이 없고

而利可全 此謀攻之法也`````````` `利益 完全함 이는 攻擊 꾀함의 法則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은 온전하다 이것이 꾀함의 법이다

故用兵之法 十則圍之`````````````` `故로 兵 쓰는 법은 열 倍이면 包圍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쓰는 법은 열 곱이면 에워싸고

五則攻之 倍則分之```````````` ```````다섯 倍이면 攻擊하고 倍이면 分離시킨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섯 곱이면 치고 곱이면 이를 나뉘게 한다

敵則能戰之 少則能逃之````` ``````對敵해 싸울 수 있고 적으면 逃避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달아날도````````````````맞보면 싸울 수 있고 적으면 숨을 수 있다

不若則能避之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같지 않으면 避한다

```````````````````피할피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안 될 것 같으면 벗어나면 된다

故小敵之堅 大敵之擒也````````` ``故로 작은 敵은 굳세고 큰 敵은 사로잡는다

``````````````````굳을견``````` 사로잡을금`````````````` 그래서 작은 적은 굳세고 커다란 적은 사로잡음이다

夫將者 國之輔也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將帥라 함은 나라의 輔佐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덧방나무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대저 장수라 함은 나라의 기틀이다

輔周則國必强 輔隙則國必弱 ``두루 輔弼해 나라 强함 틈 메워 나라 弱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틈극````````````````````````` 두루 도와서 나라 힘세고 틈 메워 나라 힘 여리다

``三患 故君之所以患於軍者三```````` `` `故로 임금의 軍에 대한 憂患 셋이니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임금은 군에 대해 세 가지 쓸데없는 걱정을 한다

不知軍之不可以進而謂之進``` `前進할 수 없음을 모르고 前進하라 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아갈 수 없음을 모르고 나아가라 하고

不知軍之不可以退而謂之退` ` `後退할 수 없음을 모르고 後退하라 하니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물러설 수 없음을 모르고 물러가라 하니

是爲縻軍 不知三軍之事`````````````이는 얽매인 軍이라 三軍의 일을 모름이다

````````고삐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이는 고삐매인 군대라 군대의 일을 모름이다

而同三軍之政者 則軍士惑矣 ```함께한 三軍行政 즉 軍士에 대한 疑惑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함께 모든 군을 다룸이란 곧 군사에 대해 헷갈림이다

不知三軍之權 而同三軍之任 ```三軍 權威 모름이요 함께 三軍 맡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든 군대의 무게를 모름이요 함께 군대를 휘두름이다

則軍士疑矣 三軍旣惑且疑````` ``즉 軍士 못믿음이고 三軍 이미 疑하고 惑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미기```````````````````````` 곧 군사를 못 믿는 것이다 군대 이미 헷갈리고 못 믿음

則諸侯之難至矣```````````````` `````````즉 諸侯의 困難함이 至大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여러 높은 이의 어려움이 끝에 다다름이다

``五知 是謂亂軍引勝 故知勝有五````````이는 亂軍 이김을 물림 故로 이김 앎 다섯

`````````````````````끌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어지러운 군대 이김 물림 그래서 이김 앎에 다섯 있다

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`````````싸울 수 있는지 없는지 알면 이기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더불어 싸워도 되는지 안 되는지 알면 이기고

識衆寡之用者勝``````````````` ``````````많고 적음의 쓰임을 알면 이기고

````````적을과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많고 적음의 쓰임을 알면 이기고

上下同欲者勝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위와 아래 함께 하고자하면 이기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위와 아래 함께 하고자하면 이기고

以虞待不虞者勝```````````````````````` 걱정 않게 갖춤을 걱정하면 이기고

헤아릴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걱정하지 않게 갖춤을 걱정하면 이기고

將能而君不御者勝`````````````` ```````將帥 能力 있고 임금 制御 안하면 이긴다

``````````````````````어거할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장수 이길 힘 있고 임금 막지 않으면 이긴다

此五者 知勝之道也```````````` ````````이 다섯은 勝利를 아는 道理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 다섯은 이김을 아는 도리이다

故曰 知彼知己 百戰不殆````` `````敵 알고 나 알면 백번 싸워도 危殆롭지않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너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

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`````` `````敵 모르고 나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진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너를 모르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진다

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````````````너 모르고 나 모르면 每番 싸움에 危殆롭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너를 모르고 나를 모르면 싸움마다 위태롭다


三患

不知軍之可能以進而謂之退` 나아갈 수 있음을 모르고 물러가라 하고

不知軍之不可以進而謂之進` 나아갈 수 없음을 모르고 나아가라 하고

不知軍之不可以退而謂之退` 물러설 수 없음을 모르고 물러가라 한다


五知

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```` 싸울 수 있는지 없는지 알면 이기고

識衆寡之用者勝`````````````````````많고 적음의 쓰임을 알면 이기고

上下同欲者勝`````````````````````````위와 아래 함께 하고자하면 이기고

以虞待不虞者勝```````````````````` 걱정 않게 갖춤을 걱정하면 이기고

將能而君不御者勝`````````````````將帥 能力 있고 임금 制御 안하면 이긴다


百戰 : 是故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` 故曰知彼知己 百戰不殆

不戰 :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

非戰 : 故善用兵者 屈人之兵而非戰也

每戰 :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

無戰 : 故戰道必勝 主曰無戰` 主曰必戰 無戰可也(第10篇)


善戰 未戰 必戰 知戰 欲戰 車戰 我戰 所戰



形篇第四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4. 갖춤 질 수없는 모양 갖춤


孫子曰 昔之善戰者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예로부터 싸움 잘함이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예로부터 싸움 잘 함이란

先爲不可勝 以侍敵之可勝`````` 먼저 이길 수 없음은 적의 이김에 따르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실시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먼저 이길 수 없게 되면 적의 이김에 따라주고

不可勝在己 可勝在敵`````````````` 이기지 못함은 나에 있고 이김은 敵에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기지 못함은 나에게 있고 이길 수 있음은 적에게 있다

故善戰者 能爲不可勝``````````````` 故로 싸움 잘함이란 이길 수 없게 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싸운다 함은 이길 수 없게 함이다

不能使敵之必可勝```````````````````` 敵이 必히 이기게끔 하지는 않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반드시 이기게끔 하지는 않는다

故曰 勝可知 而不可爲````````````` 故로 일러 이김 알아도 할 수 는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일러 이김을 알아도 이기게 되는 것만은 아니다

不可勝者 守也 可勝者 攻也 ```못 이긴다면 守備하고 이긴다면 攻擊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못 이긴다면 지키고 이긴다면 치는 것이다

守則不足 攻則有餘```````````````````守備는 모자랄 때 攻擊은 餘裕있을 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지킴은 모자랄 때 치는 것은 남을 때 한다

善守者 藏於九地之下`````````````` 좋은 守備는 모든 땅 아래에 秘藏함이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잘 지킴은 모든 땅 아래에 감추어 놓음이고

善攻者 動於九天之上`````````````` 좋은 攻擊은 온 하늘 위를 飛動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잘 침은 온 하늘 위를 날아오름이다

故能自保而全勝也```````````````````` 故로 스스로 勝利를 保全할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스스로 이김을 지켜 지닐 수 있다

見勝不過衆人之所知```````````````` 勝利 豫見함은 모두가 아는 바에 不過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김을 내다봄은 모두가 아는 바에 지나지 않는다

非善之善者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지 않음의 좋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지 않음에서의 좋음이다

戰勝而天下曰善```````````````````````` 戰爭에서 勝利함은 天下가 좋다하나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움에서 이김은 온천하가 좋다하나

非善之善者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지 않음의 좋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지 않음에서의 좋음이다

故擧秋毫不爲多力`````````````````````故로 秋毫를 드는데 많은 힘이 들지 않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솜털을 드는데 많은 힘이 들지 않고

見日月不爲明目````````````````````````해와 달을 보는데 밝은 눈 아니라도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해와 달은 밝은 눈이 아니라도 보이고

聞雷霆不爲聰耳````````````````````````우레천둥을 듣는데 밝은 귀 아니라도 된다

````천둥소리정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우레천둥은 밝은 귀가 아니라도 들린다

古之所謂善戰者勝````````````````````古來로 이르는바 善戰하면 勝利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예로부터 이르길 잘 싸우면 이기고

勝易勝者也 故善戰者之勝也 ``쉬운 이김에 이김도 善戰해서 이김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쉬운 이김에 이김 그래도 잘 싸워서 이김이다

無智名 無勇功````````````````````````` `이름난 智慧 없이 武功에 勇猛함 없이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름난 슬기 없이 이룬 일에 날쌤 없이도

故其戰勝不忒 不忒者```````````````싸움 이김에 어긋남 없고 어긋남 없음은

``````````````````````어긋날특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그 싸움 이김에 어긋남 없고 어긋남 없음은

其所措必勝 勝已敗者也```````````그 措置에 必히 이기고 이미 짐을 이김이다

`````````둘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 두는바 반드시 이기고 이미 짐을 이김이다

故善戰者 立於不敗之地```````````故로 잘 싸움이란 질 수 없는 땅에 서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싸움 잘함이란 질 수 없는 땅에 서고

而不失敵之敗也```````````````````````` 敵의 敗北를 놓치지 않음이다

```````잃을실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적이 지는 것을 놓치지 않음이다

是故勝兵先勝而後求戰`````````````이래서 勝軍은 먼저 이기고 뒤에 찾아 싸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이기는 군대는 먼저 이겨놓고 뒤에 싸움을 찾음

敗兵先戰而後求勝`````````````````````지는 군대는 싸워놓고 뒤에 이김을 求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지는 군대는 먼저 싸워놓고 뒤에 이기려한다

善用兵者 修道而保法```````````````군대 잘 부림은 道를 닦고 法을 지킴이다

````````````````````닦을수````` 지킬보```````````````````````군대 잘 부림은 도를 닦고 법을 지킴이다

故能爲勝敗之政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勝敗를 다스릴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이기고 짐의 가름이 될 수 있다

``五法 兵法 一曰度 二曰量````````````````` 군사 부리는 법 하나는 程度 둘은 測量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부리는 법 하나는 대고 둘은 재고

三曰數 四曰稱 五曰勝````````````` 셋은 算數 넷은 對稱 다섯은 優勝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셋은 세고 넷은 달고 다섯은 나음이다

地生度 度生量 量生數``````````````地形은 尺度낳고 器量낳고 器量은 數板낳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땅은 자 낳고 자는 되 낳고 되는 셈 낳고

數生稱 稱生勝``````````````````````````` 數板은 天秤을 낳고 天秤은 勝敗를 낳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셈은 저울을 낳고 저울은 가름을 낳는다

故勝兵若以鎰稱銖```````````````````` 故로 이기는 軍 무거움도 가볍게 여기고

``````````````````무게단위(20냥)일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이기는 군대는 무거움도 가볍게 여기고

敗兵若以銖稱鎰`````````````````````````지는 軍은 가벼움도 무겁게 여긴다

````````````````무게단위(24분의1냥)수````````````````지는 군대는 가벼움도 무겁게 여긴다

勝者之戰民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 `이기는 싸움의 백성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기는 싸움에서의 백성이다

若決積水於千仞之谿者 形也 ` 천길溪谷에 모인물이 터짐과 같은 모양이다

``터질결 쌓을적``````````````시내계```````````````````` 천 길의 골짝에 고인물이 터지는 것 같은 모양이다

五法

度 : 程度 대고 尺度 자```` 比較法 領土의 大小

量 : 測量 재고 器量 되```` 測量法 産物의 多少

數 : 算數 세고 數板 셈```` 計算法 軍士의 上下

稱 : 對稱 달고 天秤 저울 對照法 戰力의 優劣

勝 : 優勝 나음 勝敗 가름 判別法 勝利의 判定




勢篇第五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5. 지님 이기는 자세를 지님


孫子曰 凡治衆如治寡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群衆 다스림 적은 이와 같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을과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많은 이 다스림은 적은 이 다스림과 같고

分數是也 鬪衆如鬪寡````````````````數 나눔이 옳아 무리와 싸움 적음과 같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셈 나눔이 이것이다 무리와 싸움은 적음과 싸움 같다

形名是也 三軍之衆`````````````````` 形의 이름 이것으로 全軍의 軍衆이다

陣形 配置 布陣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꼴의 이름 이것으로 모든 군대의 무리지음이다

可使必受敵而無敗者```````````````` 必히 敵의 받음 시켜도 지지 않음이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적을 받게(적 공격을 당) 하여도 지지 않음이란

``奇正 奇正是也 兵之所加````````````````````奇變과 正常 이다 군사의 더할 바이다

기이할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갑자기 바뀜과 늘 바름 이것이다 군사의 더할 바이다

如以碬投卵者 虛實是也````````````알을 덮음 자갈과 같음 虛와 實 이것이다

```````숫돌하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울퉁불퉁 자갈로 알을 덮음같이 텅 빔과 꽉 참 이것이다

凡戰者 以正合 以奇勝``````````````무릇 싸움엔 正으로 合하고 奇로 이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싸움엔 바름으로 모이고 갑작스러움으로 이긴다

故善出奇者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善戰은 奇함에서 나옴이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싸움 잘함은 갑작스러움에서 나옴이라

無窮如天地 不竭如江河````````````無窮함 天地와 같고 아니 마름 강물과 같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끝이 없음은 하늘과 땅 같고 마르지 않음은 강물과 같다

終而復始 日月是也`````````````````` 마쳐 다시 비롯하기 日月이 이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마쳐 다시 비롯하기 해와 달이 이것이다

死而復生 四時是也```````````````````죽어 다시 살아나기 四時가 이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죽어 다시 살아나기 네 계절이 이것이다

聲不過五 五聲之變`````````````````` 聲調 다섯에 不過하나 다섯 聲調의 變化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소리는 다섯에 지나지 않으나 다섯 소리의 바뀜에

不可勝聽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傾聽해 이김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 들어 이길 수가 없다

色不過五 五色之變`````````````````` `色彩 다섯에 不過하나 다섯 色彩의 變化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빛깔은 다섯에 지나지 않으나 다섯 빛깔의 바뀜에

不可勝觀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觀察해 이김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 보아 이길 수가 없다

味不過五 五味之變`````````````````` `風味 다섯에 不過하나 다섯 風味의 變化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맛은 다섯에 지나지 않으나 다섯 맛의 바뀜에

不可勝嘗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嘗試해 이김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맛볼상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다 맛보아 이길 수가 없다

戰勢不過奇正 奇正之變````````````戰勢는 奇正에 不過하나 奇正의 變化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움겨룸 갑작과 바름 두 가지 뿐이나 갑작 바름 바뀜에

不可勝窮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窮究해 이김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 살펴 이길 수가 없다

奇正相生 如循環之無端```````````奇正 서로 살림은 循環하듯이 끝이 없어

``````````````````````````좇을순````````` 바를단`````````````갑작과 바름 서로 서로 살림은 돌고 돌아 끝이 없듯이

孰能窮之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누가 다 窮究할 수 있을까

누구숙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누가 다 살필 수 있겠는가

激水之疾 至於漂石者 勢也````` 激烈히 쏟아지는 물 돌을 굴리는 氣勢다

부딪칠격````````````````떠돌표````````````` ```````````````부딪혀 쏟아지는 물로 돌을 굴리는 힘이다

鷙鳥之疾 至於毁折者 節也``` ``내리꽂는 사나운 猛禽 낚아채는 節度다

맹금지`````````````````````헐훼꺽을절`````` `````````````내리 꽂는 사나운 새 낚아채는 모습이다

是故善戰者 其勢險 其節短``` ``이런故로 善戰은 그 勢 險하고 節度 짧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싸움 잘함은 그 勢가 사납고 움직임이 짧다

勢如彉弩 節如發機````````````````````勢는 弩 당김 같고 節은 投石機 쏨 같다

````````당길확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은 활을 당김과 같고 모습은 돌을 날려 쏨과 같다

紛紛紜紜 鬪亂而不可亂也````````紛紛해 戰鬪가 混亂하나 昏亂하지는 않다

어지러워질분 어지러울운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어지럽다 싸움이 어지러우나 어지럽지는 않다

渾渾沌沌 形圓而不可敗也``````` 混沌해 形이 圓滿하여 敗할 수 없다

흐릴혼 어두울돈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흐려 어둡다 모양이 둥글둥글하여 질 수가 없다

亂生於治 怯生於勇````````````````````治世에 混亂 生기고 勇敢해 怯이 生기고

`````````````````````겁낼겁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스림에서 어지러움이 나고 날쌤에서 무서움이 일고

弱生於强 治亂 數也``````````````````强健에서 衰弱 生긴다 混亂과 治世는 數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굳셈에서 여림이 난다 어지러움과 다스림은 헤아림이고

``形勢 勇怯 勢也 强弱 形也``````````````` 勇敢 怯냄 勢이고 强健 衰弱은 形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날쌤과 무서움은 끗발이고 굳셈과 여림은 꼴 갖춤이다

故善動敵者 形之`````````````````````` `故로 잘 움직이는 敵이란 形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움직이는 적이란 꼴 갖춤이다

敵必從之 予之 敵必取之```````````敵은 必히 쫓고 건네주면 敵은 必히 取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나여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적은 반드시 쫓고 미끼 건네주면 적은 반드시 얻으려 함

以利動之 以卒待之````````````````````有利하여 出動하니 軍卒로 待期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으로 움직이니 군사들로(마치기를) 기다린다

故善戰者 求之於勢`````````````````` `故로 善戰은 氣勢에서 求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싸움은 끗발로 찾고

不責於人 故能擇人而任勢``````` 남 譴責않는다 故로 남 選擇해 勢에 맡긴다

`꾸짖을책```````````````가릴택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남을 나무람이 없다 그래서 남을 고르고 끗발에 맡긴다

任勢者 其戰人也 如轉木石````` 勢에 맡김은 싸우는 이가 구르는 木石같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끗발에 맡김은 그 싸우는 사람이 나무와 돌 굴러가듯함

木石之性 安則靜 危則動````````` 木石 性質은 安置해 靜하고 危殆해 動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무와 돌의 바탕은 두면 가만있고 들면 움직인다

方則止 圓則行``````````````````````````` 方形이면 停止하고 圓形이면 運行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가 나면 멎고 둥글면 구른다

故善戰人之勢 如轉圓石於````````故로 善戰하는 이의 勢는 구르는 둥근 돌로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싸우는 이의 끗발은 굴러가는 둥근 돌로

千仞之山者 勢也````````````````````````千 길의 山에서 轉落하는듯함이라 勢이다

````길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천 길 낭떠러지에 굴러 떨어지듯 함이니 끗발이다




虛實篇第六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6. 비움과 채움 유리하게 이끔


孫子曰凡善處戰地而待敵者佚 孫子曰 싸우기 좋은 곳에서 기다림은 편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 이르길 무릇 싸우기 좋은 곳에서 적을 기다림은 즐김

後處戰地而趨戰者勞```````````````` 싸움터 뒤에 두고 쫓아 싸우면 疲勞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달릴추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싸움터 뒤로 두고 쫓아 싸우면 지친다

故善戰者致人而不致於人```````` 故로 잘 싸움은 다룸이고 다루어지지 않음

```````````````````보낼치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싸움은 적 다룸이고 적에게 다루어지지 않음

能使敵人自至者 利之也````````````敵 스스로 이르게 시킴이니 有利하게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을 스스로 이르게 시킴이니 남음 있게 되고

能使敵人不得至者 害之也``````` 敵 이르지 못하게 시킴이니 害롭게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을 이르지 못하게 시킴이니 나쁘게 됨이다

故敵佚能勞之````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敵이 편안하면 疲勞하게 만들고

``````편안할일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적이 느긋하면 지치도록 만들고

飽能飢之 安能動之`````````````````` `배부름 굶주리게 하고 安定은 搖動하게한다

````````주릴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배부름은 굶주리게 하고 쉬면 움직이게 한다

出其所必趨 趨其所不意````````````나옴 必히 쫓는바 쫓음은 不意의 쫓음이다

``````````````````달릴추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나옴은 반드시 쫓는 바이고 쫓음은 뜻하지 않게 한다

行千里而不勞者`````````````````````````千里를 行軍해도 疲勞하지 않음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천리를 가더라도 지치지 않음은

行於無人之地也`````````````````````````無人之境을 行軍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람 없는 곳을 지나감이다

攻而必取者 攻其所不守也`````` 攻擊해 必히 取得함은 守備 안함 攻擊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쳐서 반드시 얻음은 지키지 않는 곳을 침이고

守而必固者 守其所不攻也`````` `守備해 必히 堅固함은 攻擊 못함 守備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굳게 지켜냄은 치지 못할 곳을 지킴이다

故善攻者 敵不知其所守````````````攻擊 잘함은 敵이 守備할 곳을 모르게 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잘 침은 적이 지킬 곳을 모르게 하고

善守者 敵不知其所攻``````````````` 守備 잘함은 敵이 攻擊할 곳을 모르게 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잘 지킴은 적이 칠 곳을 모르게 한다

微乎微乎 至於無形````````````````````微微하구나 形體 없음에 이르고

작을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작고 작아 모습 없음에 이르고

神乎神乎 至於無聲`````````````````` 鬼神같구나 音聲 없음에 이른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르고 몰라 소리 없음에 이른다

故能爲敵之司命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敵의 命을 맡음이 될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맡을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적의 목숨을 맡음이 될 수 있다

進而不可御者 沖其虛也``````````` 進擊하나 制御하지 못함은 虛無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빌충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`나아가나 거느리지 못함은 텅 빔이다

退而不可追者``````````````````````````` `退却하나 追從하지 못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물러나나 따라오지 못함은

速而不可及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 `急速하여 이르지 못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빨라서 미치지 못함이다

故我欲戰 敵雖高壘深溝````````````故로 내 싸우려하면 敵陣 비록 높고 깊어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진루 도랑구``````````````그래서 내가 싸우려하면 적 비록 진 높고 해자 깊어도

不得不與我戰者`````````````````````````不得不 나와 더불어 싸우게 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와 더불어 싸울 수밖에 없다

攻其所必救也 我不欲戰``````````` 必히 救援할 곳을 攻擊 싸우고 싶지 않으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돕는 바를 친다 내 싸우고 싶지 않으면

雖畵地而守之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비록 땅을 그어서라도 守備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비록 땅을 그어서라도 이를 지킨다

敵不得與我戰者 乖其所之也 ` 敵은 나 와 싸우지 못해 가는 바 乖離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어그러질괴```````````````````적은 나 더불어 싸움을 할 수 없어 가면서 어그러진다

故形人而我無形```````````````````````` 故로 形體를 이루게 하고 나는 形體가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꼴 갖추게끔 하나 나는 꼴 갖춤이 없다

則我專而敵分 我專爲一````````````則 나는 專一 敵은 分解 나는 專一 하나 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나는 오롯이 적은 나뉨이다 나는 오롯한 하나 되고

敵分爲十 是以十攻其一也````````敵 나뉘어 열되니 이것이 열이 하나 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은 나뉘어 열이 된다 이것이 열이 그 하나를 침이다

``衆寡 則我衆而敵寡 能以衆擊寡者 ` 則 나많고 敵적다 많음은 적음을 能히 攻擊

``````````````衆寡不敵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나는 많고 적은 적다 많음으로 적음을 쳐부순다

則吾之所與戰者 約矣````````````````則 나와 더불어 싸운다 함은 縮約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묶을약```` ````````````````````곧 나와 더불어 싸우는 이는 묶여 줄어든다

吾所與戰之地不可知 不可知 ```나와 싸우는 地帶 알 수 없다 알기 不可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와 더불어 싸우는 곳은 알 수 없다 알 수 없음은

則敵所備者多 敵所備者多````````則 敵 지킬 곳이 많다 敵 지킬 곳 많음이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적이 지킬 곳은 많아진다 적 지킬 곳이 많다함은

則吾之所戰者 寡矣``````````````````` 則 내가 싸워야 할 바는 적어지는 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내가 싸울 적의 무리는 적다는 것이다

故備前則後寡 備後則前寡``````` 故로 앞 지키면 뒤 적고 뒤 지키면 앞 적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앞을 지키면 뒤가 적고 뒤를 지키면 앞이 적다

故備左則右寡 備右則左寡``````` 故로 左 지키면 右 적고 右 지키면 左 적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왼쪽 지키면 오른쪽 적고 오른 지키면 왼 적다

無所不備 則無所不寡````````````````防備 안함이 없다 則 적지 않음이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지키지 않는 곳이 없음은 곧 적지 않은 곳이 없다

寡者備人者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적음은 防備함으로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음이란 남을 지킴으로이다

衆者使人備己者也```````````````````` 많음은 남으로 하여금 나를 防備하게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많음이란 남을 시켜 나를 지키게 함으로이다

故知戰之地 知戰之日``````````````` 故로 싸울 地形을 알고 싸울 日時를 알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싸울 곳을 알고 싸울 날을 알면

則可千里而會戰`````````````````````````則 千里를 가서라도 만나 싸울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천리를 가서라도 만나 싸울 수 있다

不知戰之地 不知戰之日````````````싸울 地形을 모르고 싸울 日時를 모르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울 곳을 모르고 싸울 날을 모르면

則左不能救右 右不能救左`````````則 左는 右를 못 救하고 右는 左 못 救한다 

``````````````````건질구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곧 왼쪽은 오른쪽을 못 돌보고 오른쪽은 왼쪽 못 돌본다

前不能救後 後不能救前``````````````앞은 뒤를 못 救하고 뒤는 앞 못 救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앞은 뒤를 못 돌보고 뒤는 앞을 못 돌본다 

而況遠者數十里 近者數里乎 ` 況且 멀면 數 十里 가까워도 數 里인데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물며 멀면 몇 십리 가까워도 몇 리인데

以吾度之 越人之兵雖多````````````내 尺度에 越나라 兵士가 비록 多數이나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내가 가늠하기에 월나라 군이 비록 많으나

亦奚益於勝敗哉`````````````````````````亦是 어찌 勝敗에 利益이 되겠는가

```어찌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또 어찌 이기고 짐에 보탬이 될 것인가

故曰 勝可爲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故로 일러 勝利 하게 되리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이르길 이긴다 하리라

敵雖衆 可使無鬥``````````````````````` 敵 비록 많으나 戰鬪가 없게 하면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비록 많으나 싸움 벌어짐이 없게 하면 되고

故策之而知得失之計```````````````` 故로 策略을 내어 得失의 計算을 알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꾀하기를 얻고 잃음의 셈을 알아 策略圖謀

作之而知動靜之理`````````````````````作戰을 세워 動靜의 理致를 알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꾸미기를 움직임과 고요함의 알음을 알아 作戰竪立

形之而知死生之地`````````````````````陣形을 갖춰 生死의 地形을 알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갖추기를 죽고 살 땅을 알아 陣形構築

角之而知有餘不足之處`````````````蝸角을 보여 過不足의 處所를 알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들어내기를 남고 모자람의 자리를 알아 氣勢振作

故形兵之極 至於無形````````````````故로 形兵의 極致는 無形에 이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꼴 갖춘 군대의 끝은 꼴 갖춤이 없음에 이른다

無形則深間不能窺 智者不能謀 無形 則 空間깊어 못엿보고 智慧 圖謀못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엿볼규```` ``````````````````````갖춤 없음 곧 사이 깊어 못 엿보고 슬기로움도 못 꾸며

因形而錯勝於衆 衆不能知``````` 形에 因해 衆에 交錯한 勝利라 모두 모르고

`````````````섞일착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갖춤으로 무리들에 섞어 이김이라 모두들 알 수 없고

人皆知我所以勝之形`````````````````내가 勝利한 陣形을 남이 다 알아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이긴바 꼴 갖춤을 남이 다 알아도

``制勝 而莫知吾所以制勝之形`````````````내가 勝利를 制御한 陣形은 알지 못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이기게끔 한 꼴 갖춤은 알지 못한다

故其戰勝不復 而應形於無窮 ` 故로 勝利 再現없고 陣形 應用이 無窮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그 싸움 이김 다시없고 갖춤을 맞춤은 끝이 없다

夫兵形象水 水之行 避高而趨下 兵形 물象 流水같이 높음避해 내려달린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군대의 꼴은 물과 같아 물 흐르듯 아래로 내닫는다

兵之形 避實而擊虛``````````````````` 兵의 形 實함은 回避하고 虛함을 攻擊한다

````````````````피할피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군대의 꼴은 꽉 찬 곳은 벗어나고 텅 빈 곳을 친다

水因地而制流 兵應敵而制勝 ```물 땅 따라 흐르고 兵 敵 맞아 이기게 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물은 땅 따라 맞춰 흐르고 군사는 적 맞아 찾아 이긴다

故兵無常勢 水無常形````````````````故로 兵 氣勢 無常하고 물은 形體 無常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대 늘 같은 뻗침 없고 물은 늘 같은 꼴이 없다

能因敵變化而取勝者 謂之神 ```敵따라 能히變化해 勝利爭取함 일러 神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 따라 바뀔 수 있어 이김을 얻으니 일러 신이다

故五行無常勝 四時無常位````````故로 五行 勝 無常하고 四時 位 無常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오행에 늘 빼어남은 없고 사철 늘 머무름 없다

日有短長 月有死生````````````````````해는 長短이 있고 달은 生死가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해는 길고 짧음이 있고 달은 차고 기울음이 있다 朔望晦


制勝

策之而知得失之計 策略圖謀

作之而知動靜之理 作戰竪立

形之而知死生之地 陣形構築

角之而知有餘不足之處 氣勢振作





軍爭篇第七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7. 다툼 먼저 누른다


孫子曰 凡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用兵의 方法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군사 쓰는 법은

將受命於君 合軍聚衆``````````````` 將帥 임금 命令받아 軍을 合해 무리 모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일취``````````````````````` 장수 임금에게서 할 일 받아 군대 더하고 무리를 모아

交和而舍 莫難於軍爭``````````````` 어우름 맺고 버림 軍 戰爭에 困難함 없다

```````````````집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어우름 맺고 버려 군대 다툼에 어려움이 없다

``迂直 軍爭之難者 以迂爲直``````````````` 軍 戰爭의 困難함은 멀리서 直接 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멀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 다툼의 어려움이란 멀어도 바로 함이다

以患爲利 故迂其途``````````````````` 걱정해 有利하다 故로 그 길이 멀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길도```` ``````````````````````걱정해서 남음이 있게 되고 그래서 그 길이 멀다

而誘之以利 後人發 先人至````` 利益으로 誘引해 뒤에 出發하고 앞서 到着

````꾈유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남음으로 꾀어 뒤서서 떠나고 앞서 닿음이다

此知迂直之計者也```````````````````` 이는 멀어도 直接함의 計略을 앎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멀어도 바로함의 헤아림을 앎이다

故軍爭爲利 軍爭爲危`````````````` `故로 軍 戰爭은 利益이 되고 危機가 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대다툼은 남음이 있게 되고 아슬 함이 된다

擧軍而爭利 則不及`````````````````` `軍을 動員해 利益 다툰다 則 이르지 않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미칠급```` ````````````````````군대를 움직여 남음을 다툰다 곧 미치지 않음이다

委軍而爭利 則輜重捐`````````````` `軍에 맡겨 利 다툼 則 수레 무겁게 내놓음

맡길위````````````````짐수레치 버릴연````` ```````````군에 맡겨 남음을 다툰다 곧 수레 무겁게 내놓음이다

是故卷甲而趨 日夜不處`````````` `故로 쇠뇌 갑옷에 달려 날밤 머물지 않음

````````쇠뇌권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쇠뇌 갑옷입고 달리길 하룻밤을 머물지 않음이다

倍道兼行 百里而爭利`````````````` 곱의 길 兼해 간다 百里에 利益를 다퉈

``````아울러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곱의 길을 아울러 간다 백리에 남음 있음을 다툰다

則擒三將軍 勁者先 疲者後````` 則 三將軍이 사로잡힘 先은 强勁 後에 疲勞

사로잡을금````` 굳셀경`````` 지칠피````` ``````````곧 모든 장군이 사로잡힌다 굳셈이 먼저고 지침은 나중

其法十一而至 五十里而爭利 ```그 法 열에하나 이른다 五十里에 利를 다퉈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해감이 열에 하나 이른다 오십 리에 남음을 다툰다

則蹶上將軍 其法半至``````````````` 則 上將軍이 엎어진다 그 法 半에 이르고

넘어질궐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곧 상장군이 엎어진다 그 해감은 반에 이르고

三十里而爭利 則三分之二至 ``三十里에 利를 다퉈 則 三分의 二에 이른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삼십 리에 남음을 다퉈 곧 셋에 둘이 이른다

是故軍無輜重則亡```````````````````` 이런故로 軍 수레 무겁지 않다 則 敗亡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군의 수레가 무겁지 않다면 곧 져서 잃음이다

無糧食則亡 無委積則亡`````````` 糧食 없음 則 敗亡이고 맡겨쌓음 없음 敗亡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양식 없음은 곧 잃음이고 맡겨쌓음 없음도 곧 잃음이다

故不知諸侯之謀者 不能豫交` `故로 諸侯의 策謀를 不知함 미리 外交 못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여러 높은 이의 꾀를 알지 못함은 미리걸침 못함

不知山林 險阻 沮澤之形者```` `山林이 險阻하고 水澤의 形態를 알지 못해

````````````````````````험할조 막을저``````` ````````````````뫼와 숲이 어렵게 막고 못물이 막는지를 알지 못해

不能行軍 不用鄕導者`````````````` 行軍 할 수 없고 嚮導 쓸 수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 나아감이 없고 이끌음 쓸 수 없다

不能得地利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地利를 얻을 수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땅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

故兵以詐立 以利動``````````````````` 故로 兵은 속여 立하고 利益에 動하고

`````````````속일사 (兵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그래서 군은 속임으로 서고 남음 있음으로 움직이고

以分和爲變者也```````````````````````` 나뉘어 어울림으로 變하게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뉘어 어울림으로 바뀌게 됨이다

``六變 故其疾如風 其徐如林``````````````` 故로 疾風같이 달리고 숲처럼 가만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천천할서````````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그 달림은 바람 같고 그 가만히 있기는 숲 같다

侵掠如火 不動如山`````````````````` 불같이 侵入해 掠奪하고 山처럼 不動하여

``뺏을략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같이 들어 빼앗고 산처럼 움직이지 않아

難知如陰 動如雷震`````````````````` 그늘처럼 알기 어렵고 雷震같이 振動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벼락진```` ````````````````````그늘처럼 알기 어렵고 우레천둥같이 움직이다

掠鄕分衆 廓地分守 懸權而動 ``鄕뺏아 무리나눠 廓地나눠지킴 懸權움직임

````````````````````둘레곽```````````` 매달현 ````````````````고을뺏아 무리나누고 둘레땅 나눠지킴 상 걸어 움직임

先知迂直之計者勝```````````````````` 迂直의 計略을 먼저 알면 이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멀어도 바로함의 헤아림을 먼저 알면 이긴다

此軍爭之法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軍事戰爭의 法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군사다툼의 법이다

軍政曰 言不相聞 故爲鼓鐸````` 軍政에 일러 말 서로안들려 故로 鼓鐸을 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방울탁``````군다스림에 일러 말이 서로 안들려 그래 북과 징쓴다

視不相見 故爲旌旗`````````````````` 視野 서로 안 보여 故로 旌旗를 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서로 보이질 않아 그래서 깃발을 쓴다

夫金鼓旌旗者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대저 金과 鼓와 旌과 旗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징(후퇴알림)과 북(전진알림)과 깃발(소속부대알림)

所以一民之耳目也```````````````````` 所以 한 사람의 耳目이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한 사람의 귀와 눈같이 되는 까닭이다

民旣專一 則勇者不得獨進``````` 民 이미 專一해 則 勇敢한 進擊 홀로 안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백성은 이미 하나가 되고 곧 날쌤 홀로 나아감이 아니다

怯去不得獨退 此用衆之法也``` 怯버려 홀로後退안함 이는 大衆 쓰는法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떨림 사라져 홀로물러섬이 아니다 이는 무리 쓰는법이다

故夜戰多火鼓 晝戰多旌箕`````` `故로 밤戰鬪 불 북 많고 낮戰鬪 旌旗 많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그래서 밤 싸움에 불과 북이 많고 낮 싸움에 깃발 많다

所以變民之耳目也```````````````````` 所以 움직이는 사람의 耳目이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달라지는 사람마다의 귀와 눈같이 되는 까닭이다

故三軍可奪氣 將軍可奪心``````` 故로 全軍의 氣를 빼고 將軍의 마음을 뺀다

`````````````````빼앗을탈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모든 군의 힘을 빼앗고 장군의 마음을 뺏는다

是故朝氣銳 晝氣惰 暮氣歸`````` 故로 아침氣 銳利 낮氣 懈惰 저녁氣 復歸

``````````````날카로울예` 게으를타```````` `````````````이래서 아침의 힘 날카롭고 낮엔 느슨해 저녁엔 사라짐

``四治 故善用兵者 避其銳氣``````````````` 故로 用兵 잘함은 그 銳利한 氣를 避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잘 씀은 그 날카로움에서 벗어남이고

擊其惰歸 此治氣者也``````````````` 그 氣빠짐을 攻擊함 이는 氣를 다스림이다

``````게으를타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그 힘 느슨함 빠짐을 친다 이것이 힘을 다스림이다

以治待亂 以靜待嘩``````````````````` 治로 混亂을 期待하고 靜해 喧譁를 期待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시끄러울화` ``````````````````다스려 어지럽기 기다리고 고요히 해 시끄럽기 기다린다

此治心者也 以近待遠````````````````이는 마음 다스림이다 가까이로 멈 기다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다 가까움으로 멈을 기다리고

以佚待勞 以飽待飢`````````````````` `便安으로 疲勞를 飽滿으로 飢餓를 期待함

편안할일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느긋함으로 지침을 기다리고 배부름으로 주림을 기다림

此治力者也 無邀正正之旗``````` 이는 힘 다스림이다 正正한 깃발 맞음없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맞을요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이는 힘을 다스림이다 꼿꼿한 깃발을 맞이하지 않고

無擊堂堂之陣 此治變者也``````` 堂堂한 陣營 攻擊않음 이는 變化를 다스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튼튼한 벌림을 치지는 않는다 이는 바뀜을 다스림이다

``八勿 故用兵之法 高陵勿向``````````````` 故로 用兵의 法 높은 언덕 向하지 말며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큰언덕릉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쓰는 법은 높은 언덕 나아가지 말며

背丘勿逆 佯北勿從`````````````````` 언덕 등져 逆行 말라 거짓 敗北 쫒지 말라

`언덕구`````` 거짓양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언덕 등져 거스름 말라 거짓 짐을 쫒지 말라

銳卒勿攻 餌兵勿食``````````````````` 銳利한 軍卒 攻擊말라 미끼軍兵 먹지 말라

````````````````````먹이이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날카로운 군사 치지 말라 미끼 군사 먹지 말라

歸師勿遏 圍師必闕 圍師勿包 ```````歸國 軍隊 막지마라 包圍된軍隊 必히날뛴다

``````````````막을알`````````` 대궐궐````````````````````````돌아가는 군대 막지 말라 에우러진 군대 반드시 날뛴다

窮寇勿迫 此用兵之法也``````````` 窮塞한 敵 逼迫마라 이는 用兵의 法이다

``도둑구 닥칠박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몰린 적 다그치지 말라 이는 군사 쓰는 법이다


六變

疾風 徐林 掠火 靜山 疑陰 動震


四治

治氣 : 避其銳氣 擊其惰歸` 治心 : 以治待亂 以靜待嘩

治力 : 以近待遠 以佚待勞 以飽待飢` 治變 : 正正堂堂無邀擊


八勿

高陵勿向 背丘勿逆 佯北勿從 銳卒勿攻

餌兵勿食 歸師勿遏 圍師勿包 窮寇勿迫




九變篇第八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8. 아홉의 바뀜 상황에 대처하라


孫子曰 凡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用兵의 法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군대를 쓰는 법은

將受命於君 合軍聚衆`````````````` 장수 임금에게서 命받아 軍 더해 무리모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 임금에게서 할 일 받아 군대 더하고 무리를 모아

泛地無舍 衢地交和`````````` `````````뜬 땅 버림 말고 갈린 땅 걸쳐 어울린다

뜰범````````` 네거리구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뜬 땅 버림이 없고 엇갈린 땅 어울리게 걸치고

絶地勿留 圍地則謀``````````` `````````絶地에서 滯留말고 圍地이면 則 圖謀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끊긴 땅에서는 머물지 말고 둘러싸인 땅이면 꾀하고

死地則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死地이면 則 抗戰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죽는 땅이면 싸운다

``五不 塗有所不由 軍有所不擊````````````理由없는 길이 있고 攻擊 못할 軍 있다

길도 ```````말미암을유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뜻 모를 길이 있고 치지 못할 군이 있다 壯途 精銳

城有所不攻 地有所不爭````````` ``侵攻 못할 城郭있고 鬪爭 못할 地帶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깨지 못할 성이 있고 다투지 못할 땅이 있다 要塞 勝地

君命有所不受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受容 못할 君王의 命令이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받아들이지 못할 임금의 할 일 내림이 있다 御命

故將通於九變之利者```````````` ``` 故로 將帥는 九變의 利에 通達함으로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장수는 아홉 바뀜의 남음을 꿰뚫음으로

知用兵矣 將不通於九變之利 ```用兵을 앎이다 將帥가 九變의 利를 안通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씀을 앎이다 장수 아홉 바뀜의 남음을 꿰지 못해

雖知地形 不能得地之利矣`````` 비록 地形을 알아도 地利는 얻지 못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비록 땅의 생김새를 알아도 땅의 쓰임새 얻지 못한다

治兵不知九變之術``````````````````` 軍兵을 統治함에 九變의 技術을 알지 못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을 다스림에 아홉 바뀜의 손씀을 알지 못해

雖知五利 不能得人之用矣`````` 비록 五利를 알아도 사람 씀 얻지 못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비록 다섯 남음을 알아도 사람 부림을 얻지 못한다

是故智者之慮 必雜於利害`````` 이런故로 智者의 念慮 必히 利害에 煩雜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슬기로운 이의 걱정 반드시 남고덜음에 뒤섞인다

雜於利 而務可信也`````````````````` 利益에 煩雜해도 일하여 믿을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 있음에 뒤섞여도 믿을 수 있는 일이다

雜於害 而患可解也`````````````````` 害惡에 煩雜해도 걱정은 풀릴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덜어 나쁨에 뒤섞여도 풀 수 있는 걱정이다

是故屈諸侯者以害```````````````````` 이런故로 諸侯에게 屈服함은 害惡으로이고

````````굽을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높은 이에게 굽힘은 덜어 나쁨으로이고

役諸侯者以業 趨諸侯者以利 ` 諸侯 使役은 課業으로 諸侯쫓음은 利益으로

부릴역````````````````````달릴추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높은 이를 부림은 할 일로 높은 이 쫓음은 남음 있어

故用兵之法 無恃其不來`````````` 故로 用兵의 法은 오지 못함을 믿지 않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믿을시 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쓰는 법은 그 오지 못함을 믿지 않음이다

恃吾有以待也 無恃其不攻`````` 나 믿음은 기다림 있고 攻擊 않음 믿지못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를 믿음은 기다림이 있고 그 치지 않음은 믿지 못함

恃吾有所不可攻也``````````````````` 나를 믿기에 攻擊 할 수 없는 바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를 믿음은 칠 수 없는바가 있다 ※未 不 非

``五危 故將有五危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故로 將帥는 다섯의 危機가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장수는 다섯의 두려움이 있다

必死 可殺也 必生 可虜也``````` `必死的이면 죽일 수 있고 必히 삶은 잡힌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로잡을로```````````죽기로 하면 죽일 수 있고 살려고 함에 사로잡힌다

忿速 可悔也 廉潔 可辱也`````` ``성내 덤벼 後悔하고 淸廉潔白해 恥辱 當함

성낼분 뉘우칠회 곧을렴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성내 덤벼 뉘우침 있고 꼿꼿하고 깔끔해 쪽 팔린다

愛民 可煩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百姓을 愛重하여 煩惱한다

`````````````괴로울번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백성을 아껴 괴롭다 愛之重之

凡此五者 將之過也````````````````` `무릇 이 다섯은 將帥의 過慾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다섯은 장수의 지나침이다

用兵之災也 覆軍殺將`````````````` 用兵의 災難이다 軍隊顚覆하고 將帥 被殺됨

````````````````````````뒤집힐복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씀의 큰일이다 군 엎어지고 장수 죽임이다

必以五危 不可不察也`````````````` 다섯의 危機 必히 省察하지 않을 수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섯의 두려움을 반드시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


九變

泛地無舍 衢地交和 絶地勿留 圍地則謀 死地則戰

散地 輕地 爭地 交地 衢地 重地 泛地 圍地 死地


五不

塗有不由 軍有不擊 城有不攻 地有不爭 君命有不受


五危

必死可殺 必生可虜 忿速可悔 廉潔可辱 愛民可煩




行軍篇第九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9. 군대를 움직임 나아가고 물러나기


孫子曰 凡處軍 相敵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軍隊 駐屯은 敵을 相對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군대 머물음은 적을 마주하고

絶山依谷 視生處高`````````````````` 山 絶斷함 谷에 依해 視野 넓음은 高地머뭄

끊을절```````````````` 瞰制高地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산을 넘기는 골짝에 기대라 보임이 트임은 높이 머물음

戰隆無登 此處山之軍也`````````` 戰鬪 隆盛함 登程없다 이는 山에 駐屯한 軍

```클륭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움 큼은 오름이 없다 이는 산에 머무는 군대이다

絶水必遠水 客絶水而來```````````물 絶斷함 必히 먼물로 客은 건널 때 온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손객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물 건너기는 반드시 물 멀리하라 물 건넘에 손은 온다

勿迎之於水內 令半濟而擊之 ``물 안에서 迎接마라 半 건너게 두고 攻擊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건널제``````````````````물 안에서 맞지 마라 반 건너게 두고 이를 친다

利 欲戰者 無附於水而迎客````` 有利해 싸우려함 물에 붙지 말고 客을 맞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붙을부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남음이 있으면 싸우려함 물에 붙지 말고 손을 맞이하라

視生處高 無迎水流`````````````````` 視野 넓음은 高地머뭄 물 흐름에 迎接마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보임이 트임은 높이 머물음 물이 흐르면 맞이하지 말라

此處水上之軍也```````````````````````` 이는 水上에 駐屯한 軍隊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물 위에 머문 군대이다

絶斥澤 惟亟去無留`````````````````` `沼澤 絶斷함 아 滯留함 없이 빨리 가야함

물리칠척``` 빠를극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진펄 늪 건너기 어! 머뭇거림 없이 빨리 가야 함이다

若交軍於斥澤之中 必依水草 ```萬若 沼澤서 軍을 만남 必히 水草에 맡기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진펄 늪 가운데서 군을 만나면 반드시 물풀에 맡기고

而背衆樹 此處斥澤之軍也`````` 많은 나무 등짐 이는 沼澤에 駐屯한 軍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많은 나무는 등을 진다 이는 진펄 늪에 머문 군이다

平陸處易 而右背高````````````````` `平坦한 陸地는 머물기 쉽다 右로 高地 등짐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너른 뭍은 머물기 쉽다 오른쪽에 높은 곳을 등지고

前死後生 此處平陸之軍也````` `前方 死地 後方生地 이는 平陸에 駐屯한 軍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앞은 죽음의 땅 뒤는 삶의 땅 이는 너른 뭍에 머문 군

``四利 凡此四軍之利``````````````````````````` 무릇 이 넷은 軍隊의 有利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넷은 군대의 남음 있음이다

黃帝之所以勝四帝也```````````````` 黃帝가 네 임금을 이기는 緣由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황제가 네 임금을 이기는 까닭이다

凡軍好高而惡下 貴陽而賤陰`` 무릇 軍 높음좋고 아래싫음 陽地 貴 陰地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군 높음 좋아하고 아래 싫다 볕듦 받들고 그늘 깜

養生而處實 軍無百疾`````````````` 養生해 內實있게 둔다 軍에 百의 痼疾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삶을 길러서 꽉 채워 둔다 군에 온갖 괴로움은 없다

是謂必勝 丘陵堤防`````````````````` 이를 일컬어 必勝이다 丘陵과 堤防에서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반드시 이김이다 언덕과 둑 막음에서는

必處其陽 而右背之`````````````````` 必히 그 陽地에 駐屯하고 右로 등짐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그 볕바름에 머물고 오른쪽에 이를 등짐이다

此兵之利 地之助也`````````````````` 이것이 軍兵의 有利함이고 땅의 協助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것이 군사의 남음 있음이고 땅의 도움이다

上雨 水沫至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上流에 비 내리면 물이 泡沫지어 닿는다

```````````````거품말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위쪽에 비가 내리면 물거품이 이르른다

欲涉者 待其定也`````````````````````` 물을 건너려함은 그 安定을 待期함이다

``건널섭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물을 건너려면 물이 잔잔해지길 기다려야 한다

凡地有絶澗 天井 天牢```````````` 무릇 땅엔 건널 물이 있어 빠진 곳 싸인 곳

``````````````산골시내간````````` 우리뢰`` `````````````무릇 땅엔 건너야할 산골시내가 있다 하늘우물 하늘우리

天羅 天陷 天隙 必亟去之``````` 벌린곳 패인곳 갈라진곳 必히 빨리 지나고

`그물라 ``빠질함``틈극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하늘그물 하늘구덩이 하늘틈새 반드시 빨리 지나가고

勿近也 吾遠之 敵近之````````````` 近接마라 난 疎遠하고 敵은 接近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까이마라 난 멀리하고 적은 가까이하고

吾迎之 敵背之`````````````````````````` 난 이를 迎接하고 敵은 이를 違背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난 이를 맞이하고 적은 이를 등진다

軍旁 有險阻蔣潢`````````````````````` 軍隊周邊에 險阻한 곳 풀 우거진 웅덩 있고

`두루방``````````````줄장 웅덩이황```````` ````````````군대 두루 아슬한 곳과 풀 우거진 웅덩이 있고

井生葭葦 山林 蘙薈者````````````` 빠진 곳엔 갈대 나고 山林엔 茂盛히 우거짐

`````갈대가갈대위 무성할예무성할회```` ``````빠진 곳엔 갈대밭 산 숲엔 수북하게 우거짐

必謹愼復索之``````````````````````````` `必히 謹愼하고 再次 搜索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삼가고 다시 살펴야한다 警戒 搜索

此伏姦之所處也``````````````````````` `이는 潛伏한 姦凶이 있는 處所이다

`엎드릴복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엎드린 옳지 않음이 머물러 있는 것이다

敵近而靜者 恃其險也``````````````` 敵 近接하나 靜肅함은 그 險難함을 믿음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가까운데도 고요함은 그 아슬 함을 믿음이다

遠而挑戰者 欲人之進也`````````` 遼遠하나 戰爭을 挑發함은 前進하려 함이다

`````````휠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머나 싸움돋움은 나아가려 함이다

其所居者 易利也`````````````````````` 그 常駐하는바는 利益이 容易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머문 바는 남음 있음이 쉬움이다

衆樹動者 來也`````````````````````````` 많은 樹木이 搖動함은 到來하는 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많은 나무 움직임은 오는 것이다

衆草多障者 疑也`````````````````````` 많은 풀이 多數로 障碍면 疑心스러움이다

`````````가로막을장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많은 풀이 여럿을 가림은 의심스러움이다

鳥起者 伏也 獸駭者 覆也``````` 새 飛上함은 埋伏있음 野獸 놀라 뜀은 뒤짐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놀랄해 뒤집힐복```````````새 날아오름은 숨어있음이고 짐승 놀라 뜀은 뒤짐이다

塵高而銳者 車來也`````````````````` 風塵 높이飛散해 尖銳함은 車馬 到來함이다

티끌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먼지 높이 날려 날카로움은 수레 옴이다

卑而廣者 徒來也`````````````````````` 낮게 깔려 廣闊함은 徒步로 到來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무리도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낮게 깔려 넓음은 무리지어 걸어옴이다

散而條達者 樵採也`````````````````` 分散되고 到達함은 나무를 採取함이고

````````가지조```` 땔나무초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흩어지나 갈라져 이음은 나무를 캠이고

少而往來者 營軍也`````````````````` 少數이나 往來함은 軍營을 構築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으나 오고감은 머물러 진을 침이다

辭卑而益備者 進也`````````````````` 言辭 卑劣하나 防備 增益은 進擊함이고

말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퍼짐을 거두고 막음을 더함은 나아감이고

辭詭而强進驅者 退也```````````````言辭 詭辯이고 强力한 驅迫은 退却함이다

`속일궤```````````` 몰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속임을 거두고 세게나가 몰아세움은 물러남이다

輕車先出居其側者 陳也`````````` 輕車 于先 나와 곁에 앉힘 陳列함이다 分列

`※閱兵 分列```````` 곁측 늘어놓을진``` ````````가벼운 수레 먼저 나와 그 곁에 앉힘은 늘어놓음이다

無約而請和者 謀也`````````````````` 約束 없이 和平을 請願함은 謀略이다

`묶을약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맺음 없이 서로어울림을 빔은 꾀함이다

奔走而陳兵者 期也`````````````````` 奔走히 兵力을 陳列함은 待期함이다

달릴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바삐 달려서 병력을 펼침은 기다림이다

半進半退者 誘也`````````````````````` 半은 前進하고 半은 後退함은 誘引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은 나아가고 반은 물러감은 꼬임이다

倚杖而立者 飢也`````````````````````` 短杖에 依支해 起立함은 飢餓이다

기댈의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지팡이 짚어 일어섬은 굶주림이다

汲而先飮者 渴也`````````````````````` `汲水해 于先 마심은 渴症남이다

길을급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물을 길어 먼저 마심은 목마름이다

見利而不進者 勞也`````````````````` 利益을 發見해 邁進하지 않음은 疲勞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 있음을 보고 나아가지 않음은 지침이다

鳥集者 虛也 夜呼者 恐也```````` 새 雲集은 空虛함 밤에 부름은 恐怖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새가 모임은 비어있음이다 밤에 부름은 두려움이다

軍擾者 將不重也`````````````````````` 軍隊의 騷擾는 將帥가 嚴重하지 않음이다

`어지러울요``` (輕)`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대의 들썩임은 장수가 무겁지 않음이다 輕擧妄動

旌旗動者 亂也`````````````````````````` 깃발이 搖動침은 混亂함이다

기정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깃발 움직임은 어지러움이다

吏怒者 倦也 粟馬肉食````````````` 官吏가 憤怒함은 倦怠이다 조 馬肉 먹음

`````````````게으를권 조속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벼슬아치 성냄은 게으름이다 조와 말고기를 먹음이다

軍無懸缶而不返其舍者```````````` 軍에 솥 걸림 없고 버려 返還하지 않음은

```````매달현`````````돌아올반`````````````` ``````````````군에 솥 걸림 없고 버려 돌려주지 않음은

窮寇也 諄諄翕翕`````````````````````` 窮乏한 寇賊이다 타일러 함께 한다

`도둑구 타이를순 합할흡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꽉 막힌 도둑이다 타일러 함께 한다

徐與人言者 失衆也`````````````````` 徐徐히 사람 더불어 말함은 軍衆을 紛失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천천히 사람 더불어 말함은 무리 잃음이다

屢賞者 窘也 數罰者 困也```````` 屢次 褒賞은 窘塞함 數次 處罰은 困惑함

창루````` 막힐군 자주삭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여럿 주어기림은 막힘이고 자주 족침은 괴로움이다

先暴而後畏其衆者 不精之至也 先 亂暴 後 可畏한 軍衆 精髓 아님의 至極

사나울폭 두러울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먼저 사납고 뒤에 두려운 그 무리는 알차지 않음의 다함

來委謝者 欲休息也`````````````````` `來訪해 委任을 謝禮함 休息하려함이다

``맡길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와서 맡김 물림은 몸과 맘 쉬려함이다

兵怒而相迎 久而不合`````````````` `軍士 怒하나 相互 迎接함 持久하나 不合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성을 내나 서로 맞이하고 오래해도 함께 않고

又不相去 必謹察之``````````````````` 또 相互 移去 아님은 必히 삼가 考察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또 서로 감이 아니다 반드시 삼가 이를 살핀다

兵非貴益多也 惟無武進`````````` 兵은 非貴나 더욱 多樣함 武는 進陟이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높이 받듦 아니나 더욱 많아짐 武 나아감이 없어라

足以幷力 料敵 取人而已````````` 힘 어울러 足하고 敵 따져 사람 取得함이다

`````어우를병 되질료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 어울러 됐고 적 따져 사람 얻음이다

夫惟無慮而易敵者 必擒於人 ` 대저 念慮없어 容易한 敵은 必히 잡힌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로잡을금``````````대저 걱정 없는 손쉬운 적은 반드시 남에게 잡힌다

卒未親附而罰之 則不服`````````` 軍卒 親하지않아 處罰하면 服從 않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졸 가까이 붙지 않아 벌하면 따르지 않는다

不服則難用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 不服하면 用兵이 困難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따르지 않으면 쓰기 어렵다

卒已親附而罰不行``````````````````` `軍卒 이미 親하여 處罰을 敢行하지못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졸 이미 가까이 붙어 벌주지 못한다

則不可用也 故令之以文`````````` 則 用兵이 不可하다 故로 文書로 命令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쓸 수 없음이다 그래서 글로 시킴이다

齊之以武 是謂必取````````````````` `武藝로 均齊함 이를 일러 必히 取得함이다

가지런할제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으로 가지런히 함 이를 일러 반드시 얻음이다

令素行以敎其民 則民服````````` ``敎化로 素朴한 行動을 시킴은 百姓 服從함

````흴소```````````````````````` (從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백성 가르쳐 그냥 함 시킴은 곧 백성이 따른다

令素不行以敎其民 則民不服` ``敎化로 素朴 行動못하게 시킴 百姓 不服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백성 가르쳐 그냥 못함 시킴은 백성이 따르지 않는다

令素行者 與衆相得也````````````` `素行 시킴은 무리 더불어 相互 獲得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냥 함 시킴이란 무리 더불어 서로 얻음이다


四利

處山之軍`````絶山依谷 視生處高 戰隆無登

處水上之軍` 視生處高 無迎水流

處斥澤之軍` 必依水草 而背衆樹

處平陸之軍` 平陸處易 而右背高 前死後生




地形篇第十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10. 땅의 모양 땅 알아보기


``六形 孫子曰 地形有通者 有挂者`````` 孫子이르길 地形에 通함있고 挂함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족자괘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땅의 꼴에 뚫림 있고 걸림 있고

有支者 有隘者 有險者 有遠者 支함있고 隘함있고 險함있고 遠있다

``가를지````` 좁을애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름 있고 좁음 있고 삐뚤음 있고 멈 있다

我可以往 彼可以來``````````````````` 나는 갈 수 있고 敵은 올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저피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`나는 갈 수 있고 적은 올 수 있다

曰通 通形者 先居高陽````````````` 일러 通이라 通形은 高陽을 于先 占居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일러 뚫림이라 뚫린 꼴은 높고 볕듦을 먼저 차지한다

利糧道 以戰則利``````````````````````` 軍糧 輸送에 有利하고 戰鬪도 有利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댈 길 남음 있고 싸워도 남음 있다

可以往 難以返 曰挂````````````````` 往이 可하고 返이 困難하다 일러 挂함이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돌아올반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갈 수 있고 돌아오기 어렵다 일러 걸림이라

挂形者 敵無備 出而勝之````````` 挂形은 敵의 防備가 없어 出戰해 이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걸린 꼴은 적 막음 없어 나와 이긴다

敵若有備 出而不勝``````````````````` 敵의 防備가 있다면 出戰해 이기지 못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 막음이 있다면 나와 이기지 못한다

則難以返 不利 我出而不利````` 則 返이 困難해 不利함 내 出戰해 不利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곧 돌아오기 어려워 낫지 않음 내 나와 낫지 않고

彼出而不利 曰支 支形者````````` 敵 出戰해 不利함 일러 支함이라 支形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 나와 낫지 않음 일러 가름이라 가른 꼴은

敵雖利我 我無出也`````````````````` `敵이 비록 나보다 有利하나 나는 出戰않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비록 나보다 나으나 나는 나가지 않는다

引而去之 令敵半出而擊之`````` `誘引하면 가고 敵이 半 나오면 攻擊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끌어내면 가고 적이 반 나오면 이를 친다

利 隘形者 我先居之````````````````` 有利하다 隘形은 내가 于先 占居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음이다 좁은 꼴은 내가 먼저 차지한다

必盈之以待敵 若敵先居之`````` `敵 기다리며 必히 채움 萬若 敵이 先占하여

````찰영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적을 기다려 반드시 채운다 적이 먼저 차지한 것 같으면

盈而勿從 不盈而從之 險形者 `들면 追從마라 안 들면 追從하라 險形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차있어도 쫓지마라 차있지 않으면 쫓아라 삐뚠 꼴은

我先居之 必居高陽以待敵`````` 내가 先占한다 必히 敵 기다려 高陽을 차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먼저 차지한다 반드시 적을 기다려 높고볕듬 차지

若敵先居之 引而去之 勿從也 `萬若 敵이 先占해 誘引하면 가고 쫓지 마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먼저 차지한 것 같은데 끌어내면 가고 쫓지는 말라

遠形者 勢均 難以挑戰````````````` 遠形은 勢力이 均等해 싸움挑發이 困難하다

````````````````````고를균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먼 꼴은 힘냄이 고르므로 싸움 돋기가 어렵다

戰而不利 凡此六者 地之道也 `싸워 不利함 무릇 이 여섯은 地形의 道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워 남음이 없다 무릇 이 여섯은 땅의 길이다

將之至任 不可不察也``````````````` 將帥의 至大한 任務이다 不可不 考察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의 크나큰 맡김이다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``六過 故兵有走者 有馳者``````````````````` 故로 兵에 走 있고 馳 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달릴치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병에 달아남 있고 제멋대로 됨이 있고

有陷者 有崩者 有亂者 有北者 陷 있고 崩 있고 亂 있고 北 있다

```빠질함`` 무너질붕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빠짐이 있고 무너짐 있고 어지럼 있고 짐이 있다

凡此六者 非天之災 將之過也 무릇 이 여섯은 天災아니라 將帥의 過慾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여섯은 하늘의 일냄이 아니라 장수의 지나침

夫勢均 以一擊十 曰走````````````` 대저 勢力 均等은 一로 十을 침 일러 走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힘냄이 고름은 하나로 열을 침이니 일러 달아남

卒强吏弱 曰馳 吏强卒弱 曰陷 卒强 吏弱 일러 馳 吏强 卒弱 일러 陷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졸은 쌘데 아전 여리다 일러 멋대로 吏强卒弱 일러 빠짐

大吏怒而不服 遇敵懟而自戰 ``大吏 怒해도 不服함 敵 遭遇해 怨望 自戰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만날우 원망할대`````````````높은 관리 성내 안 따름 적을 만나 원망함 절로 싸움

將不知其能 曰崩 將弱不嚴````` 將帥 能力모름 일러 崩 將帥 柔弱 威嚴없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 그 함을 모름 일러 무너짐 장수 여려 의젓치 못해

敎道不明 吏卒無常``````````````````` 道理 敎育이 不明確 官吏와 卒兵이 無常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길을 가르침 밝지 않아 아전 졸병 늘 같음이 없다

陳兵縱橫 曰亂 將不能料敵````` 軍士 縱橫 陳列을 일러亂 將帥 敵 料量못해

`````늘어질종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군사 가로세로 벌림은 일러 어지럼 장수 함없어 적 못헴

以少合衆 以弱擊强 兵無選鋒 `少數로 合衆함 弱으로 强을 침 先鋒 無選擇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게 무리 더함 여림으로 굳셈을 침 선봉 가림 없어

曰北 凡此六者 敗之道也````````` 일러 敗北라 무릇 이 六者는 敗北의 道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일러지는 것이라 무릇 이 여섯은 지는 길이다

將之至任 不可不察也``````````````` 將帥의 至大한 任務이다 不可不 考察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의 크나큰 맡김이다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夫地形者 兵之助也 料敵制勝 ``地形은 兵에 協助한다 敵 料量해 勝利 制御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땅의 꼴 싸움에 도움 됨이다 적을 살펴 이기게 함

計險厄遠近 上將之道也``````````` 險厄의 遠近을 計算함은 上將軍의 道理이다

`````````액액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삐뚬 멍에 멀고 가까움을 헤아린다 웃 장수의 길이다

知此而用戰者必勝`````````````````````이를 熟知하고 戰爭에 活用함 必히 勝利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알아서 싸움을 씀은 반드시 이긴다

不知此而用戰者必敗```````````````` 이를 不知하고 戰爭에 誤用함 必히 敗北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모르고 싸움을 씀은 반드시 진다

``無戰 故戰道必勝 主曰無戰`````````````` 故로 戰爭의 道에 必勝함 主로 戰爭없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싸움의 길에서 반드시 이김은 힘줘일러 싸움안함

必戰可也 戰道不勝`````````````````` 必히 戰爭함 可함이다 戰爭의 道 勝利 않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싸움도 옳을 수는 있다 싸움의 길은 이기지 않음

主曰必戰 無戰可也`````````````````` 主로 일러 必히 戰爭함 戰爭 없음이 可能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주어 일러 반드시 싸움함 싸움 없음이 되는 것이다

故進不求名 退不避罪``````````````` 故로 進軍해 名譽 못求해 退役해 罪 못避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나아가 이름 못 내고 물러나 허물 못 벗음이다

惟人是保 而利合於主``````````````` 아 남이 保護하고 利益은 主君에게 糾合됨

`````````````지킬보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아 지키는 사람 따로 있고 남음 있음은 임금에 보탬이라

國之寶也 視卒如嬰兒``````````````` 國家의 寶物이다 軍卒을 嬰兒 보듯 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갓난아이영``` `````````````````나라의 보배다 군졸을 갓난애 보듯 함이다

故可以與之赴深溪```````````````````` 故로 深遠한 溪川에 더불어 나아갈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나아갈부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그래서 깊은 시내에 더불어 나아갈 수 있다

視卒如愛子 故可與之俱死``````` 軍卒봄이 親愛 子息같다 故로 俱死 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함께구``````````````군졸 봄이 아끼는 자식 같다 그래서 함께 죽을 수 있다

厚而不能使 愛而不能令``````````` 敦厚해 使役이 不能 親愛해 命令이 不能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두터워서 시킬 수가 없고 아껴서 부릴 수가 없다

亂而不能治 譬若驕子``````````````` 亂動해 治平이 不能함 驕兒 같음에 譬喩되

``````````````````````비유할비 교만할교`````````````````` 어지러우나 다스릴 수 없고 버릇없는 아이 같음에 비겨

不可用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使用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쓸 수가 없음이다

知吾卒之可以擊`````````````````````````우리 軍卒의 攻擊이 可함을 知覺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의 군사가 칠 수 있음을 알고

而不知敵之不可擊 勝之半也 ```敵 攻擊의 不可를 不知함은 勝利의 半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칠 수 없음을 알지 못함은 이김의 반이다

知敵之可擊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敵의 攻擊 可함을 知覺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적이 칠 수 있음을 알고

而不知吾卒之不可以擊````````````우리 軍卒의 攻擊 不可함을 不知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우리 군사가 칠 수 없음을 알지 못함은

勝之半也 知敵之可擊`````````````` 勝利의 半이다 敵의 攻擊 可함을 知覺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김의 반이다 적이 칠 수 있음을 알고

知吾卒之可以擊``````````````````````` 우리 軍卒의 攻擊이 可함을 知覺하나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의 군사가 칠 수 있음도 알고 있으나

而不知地形之不可以戰```````````` 地形이 싸우기에 不可함을 不知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땅의 꼴이 싸울 수 없음을 알지 못함은

勝之半也 故知兵者``````````````````` 勝利의 半이다 故로 軍兵을 周知함이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김의 반이다 그래서 싸움을 안다 함이란

動而不迷 擧而不窮 故曰````````` 動作하나 迷惑않고 擧行하나 窮塞않음 일러

`````````````헤맬미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움직여도 헤매지 않고 들어도 다하지 않음 그래서 일러

知己知彼 勝乃不殆`````````````````` 나를 알고 敵을 알아 이김에 危殆롭지 않다

````````````````````````이에내 위태할태``````````````````` 나를 알고 적을 알아 이김에도 아슬아슬하지 않다

知天知地 勝乃可全`````````````````` 하늘 알고 땅을 알아 이김에 完全할 수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늘을 알고 땅을 알아 이김에서 온전할 수 있다

 

 

勝利 敗北

必勝 必敗

全勝 全敗 連勝 連敗

壓勝 慘敗 常勝 零敗

完勝 完敗 大勝 大敗

樂勝 憤敗 快勝 潰敗

辛勝 惜敗

優勝 劣敗 決勝 退敗

健勝 奇勝 氣勝 名勝 景勝 絶勝 殊勝 失敗 僨敗 頹敗 荒敗 腐敗 酸敗 朽敗





九地篇第十一```````````````````````````` 11. 아홉의 땅 땅에 따라 맞추기


```九地 孫子曰 用兵之法 有散地```````` 孫子이르길 用兵의 法에 散地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地)``` 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군사 쓰는 법에 흩어지는 땅이 있고

有輕地 有爭地 有交地````````````` 輕地 있고 爭地 있고 交地 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벼운 땅 다투는 땅 엇갈린 땅이 있고

有衢地 有重地 有泛地````````````` 衢地 있고 重地 있고 泛地 있고

네거리구```````````````````````` 뜰범``````` ````````````````네 갈래 땅 무거운 땅 떠있는 땅이 있고

有圍地 有死地`````````````````````````` 圍地 있고 死地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둘러싼 땅 죽는 땅이 있다

諸侯自戰其地 爲散地`````````````` 諸侯 自然히 싸우니 그 땅은 散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스리는 이들 스스로 싸워 그 땅은 흩어지는 땅이 되고

入人之地不深者 爲輕地`````````` 他地에 侵入해도 深遠하지않아 輕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의 땅에 들어와도 깊지가 않아 가벼운 땅이 되고

我得則利 彼得亦利者 爲爭地 `나도 남도 獲得하면 利益이니 爭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故)`````````````````내가 가져도 남이 가져도 좋으니 다투는 땅이 되고

我可以往 彼可以來者 爲交地 `나는 감이 남은 옴이 可하여 交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故)``````````````````나는 갈 수 있고 남은 올 수 있어 엇갈린 땅이 되고

諸侯之地三屬```````````````````````````` 諸侯의 領地는 所屬이 三種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엮을속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다스리는 이들의 땅은 세 가지에 속한다

先至而得天下衆者 爲衢地`````` 먼저 와 天下 大衆을 取得함은 衢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故)` ``````````````````````먼저 와서 온 누리의 무리를 얻음은 네거리 땅이 되고

入人之地深 背城邑多者`````````` 他地에 侵入해 깊어 城邑 뒤로 함이 많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의 땅에 들어와 깊고 성 고을 뒤로 함이 많음은

爲重地 行山林 險阻 沮澤``````` 重地가 되고 山林을 가면 險하고 막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막을저`````````````````````무거운 땅이 되고 산 숲을 가면 아슬 하고 못이 막혀

凡難行之道者 爲泛地````````````` `무릇 進行이 險難한 道路라 泛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故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가기 어려운 길이라 떠있는 땅이 되고

所由入者隘 所從歸者迂`````````` 들어감에 좁은바 따라 돌아가기가 멀다

```````````````````좁을애```````````````````멀우````````````````들어가 좁아 따라 돌아가기 멀다

彼寡可以擊吾之衆者 爲圍地 ` 敵이 적어 우리가 칠 수 있어 圍地가 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(故)```````````````` 적이 적어 우리무리가 칠 수 있어 둘러싼 땅이 되고

疾戰則存 不疾戰則亡者`````````` 빨리 싸워 存續되고 빨리 안 싸워 亡失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냅다 싸우면 있게 되고 냅다 싸우지 않아 잃게 됨은

爲死地 是故散地則無以戰`````` 死地가 된다 이런故로 散地 則 싸워 없고

(故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죽는 땅이 된다 이래서 흩어지는 땅 곧 싸움으로 없고

輕地則無止 爭地則無攻`````````` 輕地는 中止가 없고 爭地는 攻擊이 없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벼운 땅은 그침이 없고 다투는 땅은 침이 없고

交地則無絶 衢地則合交`````````` 交地는 斷絶이 없고 衢地는 合해 交地 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엇갈린 땅은 끊임이 없고 네거리 땅은 겹쳐 엇갈린다

重地則掠 泛地則行`````````````````` 重地는 掠奪이 있고 泛地는 通行하게 된다

````````노략질할략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무거운 땅은 앗김이 있고 떠있는 땅은 다니게 되고

圍地則謀 死地則戰````````````````` `圍地는 圖謀하고 死地는 戰爭이 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둘러싼 땅은 꾀함이 있고 죽는 땅에는 싸움 일어난다

``八使`所謂古之善用兵者 能使敵人 ` 所謂 옛 用兵 잘함 敵을 시켜 함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른바 옛날부터 군사 잘 씀은 적으로 하여금 시키길

前後不相及 衆寡不相恃`````````` 前後 相互 到達안하게 衆寡 相互 믿지 않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믿을시``````````````앞뒤로 서로 이르지 않게 많든 적든 서로 믿지 않게

貴賤不相救 上下不相扶`````````` 貴賤 相互 救援 없게 上下 相互扶助 없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도울부`````````````받든 이 깐 이 서로 도움 없게 위아래 서로 돕지 않게

卒離而不集 兵合而不齊`````````` 兵卒떠나 集合않케 兵卒 聯合해 整齊않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지런할제``````````군사 떠나 모이지 않게 군사 모여 가지런하지 않게

合於利而動 不合於利而止`````` 利益 附合해 行動케 利益 不合해 中止하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에 붙어 움직이게 남음에 맞지 않아 그치게 한다

敢問敵衆整而將來 待之若何`` 敢히 質問 敵 整齊해 將次來侵을 어찌할까

```````````````가지런할정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힘내 묻길 적의 무리 가지런해 올 텐데 어떻게 기다릴까

曰 先奪其所愛 則聽矣````````````` 曰 그 愛着을 먼저 奪取해 則 들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르길 그 아끼는 바를 먼저 빼앗으면 곧 들을 것이다

兵之情主速 衆人之不及`````````` 軍情의 主는 速度라 여럿이 가면 不及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의 뜻 으뜸은 빠름이라 여럿이 가면 못 미친다

由不虞之道 攻其所不戒也`````` 不虞의 道에 緣由해 警戒않는 곳을 攻擊함

`````헤아릴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걱정 않는 길이기에 지키지 않는 곳을 친다

凡爲客之道 深入則專`````````````` 무릇 손님되는 道라 깊이 侵入해 專念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손님되는 길이라 깊이 들면 오롯해진다

主人不克 掠於饒野 三軍足食 `主人 克復못해 豊饒한 들 뺏어 三軍 다먹임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넉넉할요``````` ````````````````````주인이 못 이겨 기름진 들 뺏어 모든 군을 다 먹인다

謹養而勿勞 倂氣積力`````````````` 삼가 養成해 徒勞말고 氣 아울러 힘 蓄積함

````````````````````````아우를병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삼가 길러 헛수고 말고 힘냄을 아울러 힘을 쌓는다

運兵計謀 爲不可測`````````````````` 軍兵運用에 計略 圖謀하고 測量 不可케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 부림에 꾀를 쓰고 함에 잴 수 없게 한다 參謀

投之無所往 死且不北`````````````` 投降해 갈 곳 없고 決死하여 敗北 않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던져서 갈 곳이 없고 죽어도 달아나지 않는다

死焉不得 士人盡力`````````````````` 죽음 얻지 않음이고 士人 全力을 消盡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죽음이란 얻지 않음이고 군사는 힘을 다한다

兵士甚陷則不懼 無所往則固 ``兵士 甚陷해 恐懼않고 갈 곳 없어도 堅固함

`````````````빠질함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병사 매우 빠져도 두려워않고 갈 곳이 없어도 굳건하다

深入則拘 不得已則鬪`````````````` 깊이 侵入하여 拘束됨이라 不得已 싸운다

`````````````잡을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깊이 들어가 잡히니 마지못해 싸운다

是故其兵不修而戒 不求而得 ` 故로 兵士 修練않고 警戒함 求함없이 얻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그 군사 닦지 않고 지킨다함 찾지 않고 얻음이다

不約而親 不令而信`````````````````` 맺지 않고 親近함 시키지 않고 確信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맺지 않고 가까움 시키지 않고 믿음

禁祥去疑 至死無所之``````````````` 祥瑞 禁해 疑惑 없앰 죽음 이르러 갈데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음을 말려 물음이 사라짐 죽음에 이르러도 갈데없다

吾士無餘財 非惡貨也`````````````` 우리 兵士 財物 餘分없어 財貨 싫어아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우리 군사 돈이 남지 않음은 나쁜 돈이라서 아니고

無餘命 非惡壽也``````````````````````` 生命에 餘裕가 없어 壽命이 싫어서 아니다

(士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목숨이 남지 않음은 나쁜 목숨이라서가 아니다

令發之日 士卒坐者涕霑襟``````` 發令한 날 앉은 士卒 눈물로 옷깃 젖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눈물체젖을점옷깃금````부름을 펼친 날 앉은 군사 눈물로 옷깃이 젖는다

偃臥者淚交頤 投之無所往者 ` 쓰러져 누워 눈물 흘리고 던져 갈 곳 없음

쓰러질언눈물루턱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쓰러져 누운 이 턱에 눈물이 흐르고 던져 갈 곳 없음

諸 劌之勇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諸軍이 傷處입고 勇敢하다

````쪼갤귀`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두가 다침에도 날쌤이다

故善用兵者 譬如率然 率然者 ``故로 좋은 用兵은 率然에 譬喩한다 率然은

``````````````````````비유할비 거느릴솔``` ```````````````그래서 군사 잘 씀은 솔연(뱀)에 빗대고 솔연(뱀)은

常山之蛇也 擊其首則尾至``````` 常山의 뱀이라 머리를 치면 꼬리가 이르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상산의 뱀이라 머리를 치면 꼬리가 이르고

擊其尾則首至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꼬리를 치면 머리가 이른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꼬리를 치면 머리가 이른다

擊其中則首尾俱至 敢問``````````` 中間을 치면 머리꼬리 함께이른다 敢히둗길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운데를 치면 머리꼬리 함께 이른다 힘내어 묻길

兵可使如率然乎 曰 可````````````` 軍兵 率然처럼 시켜 可能할까 이르길 可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군사를 솔연처럼 부릴 수 있겠는가 이르길 옳다

夫吳人與越人相惡也`````````````````대저 吳나라 越나라 사람은 相互 憎惡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들은 서로 미워한다

當其同舟而濟 遇風``````````````````` 同一한 배로 물을 건넘에 風浪을 遭遇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만날우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같은 배를 타고 물을 건넘에 바람을 만났다

其相救也 如左右手`````````````````` 相互 救助함 當然해 左右의 손 같을 것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서로 도움이 마땅하다 오른손 왼손 같을 것이다

是故方馬埋輪 未足恃也`````````` 이런故로 馬車바퀴 빠져도 믿기 足하지않다

```````````````````묻을매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말이 바퀴를 빠뜨려도 믿기에는 모자람이다

齊勇如一 政之道也 剛柔皆得 `齊勇 하나같이 行政의 道이다 剛柔 다 얻음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굳셀강``````````````````가지런함 날쌤 하나같이 다스림의 길이다 강유 다 얻음

地之理也 故善用兵者`````````````` 땅의 理致이다 故로 用兵 잘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땅의 이치이다 그래서 군사 잘 씀은

攜手若使一人 不得已也`````````` 손 끌기가 一人 시킴과 같아 不得已함이다

끌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손 끌기가 한사람 같아 하는 수 없음이다

將軍之事 靜以幽 正以治````````` 將軍의 事務 그윽해 靜肅함 다스려 嚴正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군의 일은 그윽해 고요하고 다스려바르다

能愚士卒之耳目 使之無知`````` 士卒의 耳目 能히 愚昧케해 知覺못하게 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병사의 귀와 눈을 어둡게 하여 알지 못하도록 한다

易其事 革其謀 使人無識````````` 事業 바꿔 謀策 고쳐 남이 識別 못하게 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일 바꾸고 그 꾀 고쳐서 남이 알 수 없도록 한다

易其居 迂其途 使人不得慮````` 居處 變易 長途 迂廻해 남이 憂慮않게한다

`````````````````멀우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머묾을 바꾸고 길을 멀리해 남이 걱정 못하도록 한다

帥與之期 如登高而去其梯`````` 將帥 주는 期待는 登高해 사다리 치움 같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다리제``````장수가 베푸는 바램은 높은 곳 올라 사다리 치움 같고

帥與之深入諸侯之地```````````````` 將帥의 줌은 諸侯의 땅에 깊이 侵入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의 베풀음은 다스리는 이의 땅에 깊이 들어가게 함

而發其機 焚舟破釜 若驅群羊 `틀 쏘아 배 焚燒하고 솥 破壞함 양떼 몰듯

``````````````````불사를분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``````틀을 쏘아 배를 불사르고 솥을 부수고 양떼를 몰듯하고

驅而往 驅而來 莫知所之````````` 驅使해 가고 驅使해 와서 갈 곳 알 수 없다

몰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몰아가고 몰아 와서 갈 곳을 알 수 없다

聚三軍之衆 投之於險`````````````` 三軍의 軍衆을 聚合해 險地에 投入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든 군의 무리를 모아 어려움에 던진다

此謂將軍之事也 九地之變`````` 이를 일러 將軍의 일이라 九地의 變化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장군의 일이라 아홉 땅의 바뀜이다

屈伸之利 人情之理`````````````````` 屈伸의 利益이며 人情의 理致이니

굽을굴 펼신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굽히고 폄의 남음 있음이며 사람 뜻의 다스림이니

不可不察也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不可不 考察하여야 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살피지 않을 수 없다

凡爲客之道 深則專 淺則散```` `무릇 客 되는 道는 深해 專함 淺해 解散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손님되는 길 깊어 오로지하고 얕아 흩어짐이다

去國越境而師者 絶地也``````````` 國境을 超越하여 가는 軍隊는 絶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라 땅을 넘어서서 가는 군대는 땅이 끊겼음이다

四達者衢地也 入深者重地也 ` 四達은 衢地이고 들어 깊음은 重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넷으로 트임은 네거리땅이고 들어 깊음은 무거운땅이다

入淺者 輕地也 背固前隘者```` 들어 얕음 輕地이고 背後 堅固 前方 좁음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들어 얕음은 가벼운 땅이고 뒤가 굳고 앞이 좁음은

圍地也 無所往者 死地也````````` 圍地이고 갈데없음은 死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둘러싼 땅이고 갈데없음은 죽는 땅이다

是故散地 吾將一其志 輕地````` 이런故로 散地고 내 將次 한 뜻은 輕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흩어지는땅이고 내 한뜻으로 함은 가벼운 땅이다

吾將使之屬 爭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시켜 所屬하게함은 爭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엮을속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게 붙도록 시키고자 함은 다투는 땅이다

吾將趨其後 交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그 後尾를 쫓음은 交地이다

````````달릴추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내가 그 뒤를 쫓고자 함은 엇갈린 땅이다

吾將謹其守 衢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謹愼해 守備함은 衢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삼가 지키고자 함은 네 갈래 땅이다

吾將固其結 重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確固히 結束함은 重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굳게 맺고자 함은 무거운 땅이다

吾將繼其食 泛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그 獨食을 繼續함은 泛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그 먹음을 잇고자 함은 떠있는 땅이다

吾將進其塗 圍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그 塗炭에 進出함은 圍地이다

```````````````````진흙도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그 진탕에 나아가고자 함은 둘러싼 땅이다

吾將塞其闕 死地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그 문을 窮塞하게함은 死地이다

```````막힐색 대궐궐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내가 그 문이 막히게끔 함은 죽는 땅이다

吾將示之以不活``````````````````````` 내 將次 살지 않음으로 보임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하고자 함은 살아있지 않게 보임이다

故兵之情 圍則禦``````````````````````` 故로 軍兵의 事情은 包圍되면 防禦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막을어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대의 뜻은 둘러싸이면 맞서고

不得已則鬪 過則從`````````````````` 不得已하면 鬪爭하고 通過하면 追從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할 수 없으면 싸우고 지나가면 쫓는다

是故不知諸侯之謀者```````````````` 이런故로 諸侯의 謀策은 感知하지 못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다스리는 이의 꾀함은 알 수 없고

不能預交 不知山林 險阻````````` 미리 交感 못하고 山林이 險阻한지 모르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험할조````````````미리 걸칠 수 없고 산 숲이 어려운지 모르고

沮澤之形者 不能行軍`````````````` 막은 沼澤의 形態를 몰라 行軍할 수 없다

막을저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막은 못의 꼴을 몰라 군대를 보낼 수 없다

不用鄕導者 不能得地利`````````` 嚮導 運用 못하고 地利 獲得이 不能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끌음 쓸 수 없고 땅의 도움을 얻을 수 없다

四五者不知一 非覇王之兵也 ` 너 댓에 하나 모르니 制覇하는 軍兵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으뜸패```````` ````````````````너 댓에 하나도 모르니 떨치는 군대아니다

夫覇王之兵 伐大國 則其衆````` 대저 制覇하는 軍兵 大國을 치니 그 무리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떨치는 군대는 큰 나라를 치니 그 무리는

不得聚 威加於敵 則其交````````` 聚合되지 않고 敵에 두려움 더해 그 外交는

```````모일취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모이지 않고 적에 두려움을 더해 그 사귐이

不得合 是故不爭天下之交``````` 聯合못함 이런故로 不爭은 天下의 外交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붙지 않는다 이래서 다투지 않음은 온 누리의 사귐이다

不養天下之權 信己之私`````````` 天下權量 培養하지 않고 自己 믿는 壅拙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온 누리에 힘 뻗침을 키우지 않고 저만 믿는 좁은 생각

威加於敵 則其城可拔``````````````` 敵에 두려움 加重시켜 그 城은 빼앗기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뺄발``````````````````````적에게 두려움을 더하게 해 그 성을 뺏을 수 있고

其國可隳 施無法之賞``````````````` 그 나라는 무너진다 法 없는 賞을 施行하고

`````````무너뜨릴휴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나라를 무너뜨린다 본보기 없는 내림을 베풀고

懸無政之令 犯三軍之衆``````````` 다스림 없는 命令 내 건다 三軍軍衆 해입음

매달현``````````````해칠범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다스림 없는 시킴을 내어건다 모든 군이 어긋남은

若使一人 犯之以事 勿告以言 `한사람 부리듯 일로 해치니 말로 告知 말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한사람 부리듯 함 일로서 어긋나니 말로서 알리지 말라

犯之以利 勿告以害`````````````````` 利得으로 해치니 被害는 告知하지 말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 있음으로 어긋나니 끼침 입음은 알리지 말라

投之亡地然後存```````````````````````` 滅亡할 處地에 投入되어도 그렇게 存在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라질 자리에 던져진 다음에도 그렇게 남아있고

陷之死地然後生```````````````````````` 沒死할 窮地에 陷落되어도 그렇게 生還한다

빠질함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죽을 자리에 빠진 다음에도 그렇게 살아있다

夫衆陷於害 然後能爲勝敗`````` 여러 陷沒의 被害 後에 勝敗가 決定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여러 빠뜨림을 입고 난 다음 이기고 지는 것이니

故爲兵之事 在於佯順敵之意 ` 故로 兵事는 敵의 意中 거짓 따름에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거짓양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의 일을 함은 적의 뜻을 거짓으로 따름에 있다

幷敵一向 千里殺將``````````````````` 敵과 倂合해 한 方向 千里에 將帥를 죽임 

어우를병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적과 어우러져 쭉 뻗어서 천리에 장수를 죽이니

是謂巧能成事者也```````````````````` 이를 일러 技巧라 成事가 可能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예쁨이라 일을 이룰 수 있음이다

是故政擧之日 夷關折符`````````` 이런故로 擧兵하는 날 邊方關門 쪼갬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다스려 일으킨 날 변방의 문 지킴이 꺾임이다

無通其使 勵於廊廟之上`````````` 그 使臣의 通行이 없어 宗廟에서 勉勵한다

`````````````````````힘쓸려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 시킴에 다니지 않아 종묘 받들어 모심에 힘쓴다

以誅其事 敵人開闔 必亟入之 `그 일 誅殺함 敵문 열어 必히 빨리 들어가

````벨주``````````````````````````문짝합 빠를극 `````````베어냄이 그 일이라 적 문 열어 반드시 빨리 들어가니

先其所愛 微與之期 踐墨隨敵 `먼저 아끼는바 짧은 짬에 먹 밟아 적 따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밟을천 ````````````````먼저 그 아끼는 바를 짧게 준 짬에 먹 밟아 적을 쫓아

以決戰事 是故始如處女`````````` 決戰의 일은 이런故로 處女같은 始作이다

``터질결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싸움을 벌이는 일은 이래서 아가씨 두 듯에 비롯함이다

敵人開戶 後如脫兎 敵不及拒 `적 문 열어 토끼 쫓아 잡듯 敵은 拒否못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토끼토 ``````````````````````막을거 `적이 문 열어 토끼 벗기듯 쫓아 적 막지 못함


九地

散地 輕地 爭地 交地 衢地 重地 泛地 圍地 死地


八使

前後不相及 衆寡不相恃 貴賤不相救 上下不相扶

卒離而不集 兵合而不齊 合於利而動 不合於利而止

 

 

火攻篇第十二```````````````````````````` 12. 불로 공격 불의 사용


``五火 孫子曰 凡火攻有五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火攻엔 다섯이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불로 침엔 다섯이 있다

一曰火人 二曰火積 三曰火輜 `하나 사람 태움 둘 積載 태움 셋 수레 태움

(五者)`````````````````````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짐수레치 하나는 사람 불태움 둘은 쌓임 불태움 셋은 수레 불태움

四曰火庫 五曰火隊`````````````````` 넷은 倉庫 태움 다섯은 部隊 태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넷은 곳집 불태움 다섯은 부대 불태움

行火必有因 煙火必素具`````````` 지르기 必히 原因있고 그을기 必히道具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 지르기 반드시 까닭 있고 그을기 쓰일 갖춤이 있다

發火有時 起火有日`````````````````` 發火에 適時가 있고 일으킴에 當日이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 피움에 때가 있고 불 일으킴에 날이 있다

時者 天之燥也`````````````````````````` 適時란 氣候 乾燥할 때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때란 날씨가 마를 때이다

日者 月在 箕 壁 翼 軫也````````` 當日은 달이 기벽익진의 星宿에 있을 때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날은 달이 기벽익진의 별자리에 있을 때이다  28宿

凡此四宿者 風起之日也`````````` 무릇 이 네 자리란 바람이 이는 날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네 자리란 바람이 이는 날이다

凡火攻 必因五火之變而應之 ``무릇 火攻은 必히 다섯 變化와 應用에 基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불태움은 반드시 다섯의 바뀜에 따라 맞춘다

火發於內 則早應之於外`````````` 內部에서 피워 早速히 外部에서 應對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은 안에서 피우고 이에 밖에서 곧장 맞이한다

火發而其兵靜者 特而勿攻`````` 불 피워 그 兵이 靜寂하면 特히 攻擊 말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을 피워 그 군이 고요하면 아무튼 치지 말라

極其火力 可從而從之`````````````` 火力 極致에 쫓을 수 있어 쫓는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불의 힘 다하면 쫓을 수 있어 쫓는다

不可從而止 火可發於外`````````` 쫓지 못하면 中止하고 外部에서 發火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쫓지 못하면 멈추고 밖에서 불을 피울 수 있음이다

無待於內 以時發之 火發上風 `안에서 待期없어 때에 피우면 바람을 탄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안에서 기다림 없어 때맞춰 피우면 불은 바람을 탄다

無攻下風 晝風久 夜風止````````` 바람 자 안치니 낮風 持久하고 밤風 中止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바람 자면 치지 말라 낮 바람 오래가고 밤바람 그침이다

凡軍必知有五火之變``````````````` 무릇 軍은 必히 五火의 變通 있음을 熟知해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릇 군은 반드시 다섯 불의 바뀜 있음을 알아서

以數守之 故以火佐攻者明`````` 세어 守備함 故로 火攻으로 輔佐함 明晳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헤아려 지킨다 그래서 불로 침을 도움은 밝음이다

以水佐攻者强```````````````````````````` 水攻으로 攻擊을 輔佐함은 强力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물로써 침을 도우는 것은 세참이다

水可以絶 不可以奪`````````````````` 물은 絶斷이 可能하나 剝奪은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물은 건널 수 있으나 뺏을 수는 없다

夫戰勝攻取 而不修其功者凶 ``싸움 이겨 쳐 取得해 그 功勞 不修는 凶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대저 싸움에 이겨 쳐서 얻음에 그 쌓음 안 고침은 나쁨

命曰 費留 故曰 明主慮之```````` 命하길 費用 留保 故로 賢明한 君主 念慮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부름에 일러 쓰임 남겨라 그래서 밝은 임금 걱정함이다

良將修之 非利不動`````````````````` 良將은 닦아서 利益이 아니면 行動하지않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좋은 장수 닦아서 남음 있음이 아니면 움직이지 않고

非得不用 非危不戰`````````````````` 取得아니면 用兵않고 危機아니면 戰爭 안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얻음 아니면 쓰지 않고 두렵지 않으면 싸우지 않는다

主不可以怒而興師``````````````````` `君主는 憤怒로 軍隊 일으킴이 不可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임금은 성내어 군사를 일으켜서는 안되고

將不可以慍而致戰``````````````````` `將帥는 煩慍으로 戰爭에 나섬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장수는 노여워서 싸움에 뛰어들면 안된다

合於利而動 不合於利而止`````` 利益에 符合하면 行動하고 어긋나면 中止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남음 있음에 맞으면 움직이고 어긋나면 그친다

怒可以復喜 慍可以復悅``````````` 憤怒는 다시 喜樂되고 煩慍 다시 悅安이 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성냄 다시 기쁨 되고 노여움 다시 기쁨 됨이다

亡國不可以復存```````````````````````` 나라를 잃음은 다시 存立함이 不可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나라를 잃음은 다시 남아있을 수 없고

死者不可以復生```````````````````````` 죽음이란 다시 生活함이 不可하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죽음이란 다시 살아날 수 없는 것이다

故明君愼之 良將警之`````````````` 故로 明君은 謹愼하고 良將은 警戒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밝은 임금은 삼가고 좋은 장수는 살핀다

此安國全軍之道也```````````````````` 이는 國家 平安하고 軍隊 保全하는 길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는 나라 수월하고 군대 제대로 지키는 길이다


五火

火人 火積 火輜 火庫 火隊 

 

 

 

 

 

 

用間篇第十三`````````````````````````````13. 간첩을 씀 간첩의 활용


孫子曰 凡興師十萬``````````````````` 孫子이르길 무릇 十萬의 軍隊를 일으켜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孫子이르길 무릇 십만의 군사를 일으켜

出征千里 百姓之費 公家之奉 `千里를 出征해 百姓의 費用 公家의 奉仕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천리를 치러가 백성의 씀 귀족의 바침이

日費千金 內外騷動 怠於道路 `하루 千金을 消費 內外 騷動 길에서 倦怠로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하루 천금을 써 안팎이 시끄럽고 길에서 지쳐

不得操事者 七十萬家`````````````` 操業에 從事해 못 얻음이 七十萬의 집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일 부려 못 얻음이 칠십만의 집이다

相守數年 以爭一日之勝`````````` 數年을 相互 지켜 爭覇는 하루 勝利이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몇 년을 서로 지켜도 다툼으로는 하루의 이김이고

而愛爵祿百金 不知敵之情者 ` 爵祿 百金에 愛着해 敵의 情報를 不知함은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자리 받음과 되는 돈을 아껴 적의 속내를 모름은

不仁之至也 非人之將也`````````` 어질지 못함의 至大함이요 將帥가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어질지 못함의 끝이요 사람들의 장수가 아니다

非主之佐也 非勝之主也`````````` 임금 輔佐함이 아니며 勝利의 主役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임금을 모심이 아니며 이김의 으뜸이 아니다

故明君賢將 所以動而勝人`````` 故로 明君 賢將은 行動하면 勝利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밝은 임금 어진 장수는 움직이는바 남을 이긴다

成功出於衆者 先知也`````````````` 大衆에서 出現에 成功함이란 먼저 探知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무리에서 드러나 한일 이룸이란 먼저 앎이다

先知者 不可取於鬼神`````````````` 먼저 探知함이란 鬼神에게서 取得함 아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먼저 앎이란 귀신에게서 얻을 수 없고

不可象於事 不可驗於度`````````` 일에서 形象함도 程度로 證驗할 수도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일에서 본뜰 수도 없고 재어서 밝힐 수도 없다

必取於人 知敵之情者也`````````` 必히 남에게서 取得해 敵의 情報를 앎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남에게서 얻어 적의 속내를 안다

``五間 故用間有五 有因間 有內間````` 故로 間諜 씀에 다섯이 있으니 因間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간첩 씀에 다섯이 있으니 아는 간첩과 ※細作

有反間 有死間 有生間````````````` 內間과 反間과 死間과 生間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안에 간첩과 돌림 간첩과 알림 간첩과 틀린 간첩이다

五間俱起 莫知其道`````````````````` 五間 함께 惹起되니 그 道를 알 수 없다

```````함께구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섯 간첩 골고루 일어나니 그 길을 알 수가 없다

是謂神紀 人君之寶也`````````````` 이 일러 神奇한 紀綱이라 君主의 寶物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야릇한 벼리라 임금이 아껴 지님이다

因間者因其鄕人而用之``````````` 因間이란 그 곳 사람을 使用함에 基因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아는 간첩이란 그곳 사람으로 쓰기 때문이고

內間者 因其官人而用之`````````` 內間이란 그 안 사람을 使用함에 基因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안에 간첩이란 그 안의 사람으로 쓰기 때문이고

反間者 因其敵間而用之`````````` 反間이란 그 敵 間諜을 使用함에 基因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돌림 간첩이란 그 적의 간첩을 쓰기 때문이고

死間者 爲誑事於外`````````````````` 死間이란 外部로 일을 誑惑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속일광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알림 간첩이란 바깥으로 일을 속이게 함이다

令吾聞知之 而傳於敵間也`````` 내가 들려 알게끔 해 敵間에게 傳達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내가 들려주어 알게끔 해 적의 간첩에게 알림이다

生間者 反報也`````````````````````````` 生間이란 相反된 諜報를 알림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틀린 간첩이란 뒤바꾸어 알림이다

故三軍之事 莫親於間``````````````` 故로 三軍의 일에 間諜보다 親密한 것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모든 군의 일에 간첩보다 가까이할 것 없다

賞莫厚於間 事莫密於間``````````` 間諜보다 褒賞 厚함없고 成事에 緊密함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보다 내려줌 두터울 수없고 일이룸에 빼곡할 수없다

非聖智不能用間``````````````````````` `間諜 쓸 수 없음은 聖人의 智慧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을 쓸 수 없으면 커다란 슬기 아니다

非仁義不能使間``````````````````````` `間諜 시킬 수 없음은 仁者의 忠義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을 부릴 수 없으면 어진 의로움이 아니다

非微妙不能得間之實```````````````` 間諜의 實利 얻을 수 없음은 微妙함 아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의 채움을 얻지 못하면 숨긴 야릇함이 아니다

微哉 微哉 無所不用間也````````` 微妙함이여 間諜 안 쓸 곳이 없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가늘고 가늘어도 간첩 쓰지 못할 데가 없다

間事未發 而先聞者`````````````````` 間諜의 成事에 發現 멀어도 먼저 들음이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의 일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도 먼저 들음이라

間與所告者皆死``````````````````````` `間諜의 報告에 따라 모두 死亡함이라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간첩의 알려줌은 죽음에 두루 미침이라

凡軍之所欲擊 城之所欲攻``````` 軍의 打擊하려는 곳 城의 侵攻하려는 곳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든 군의 치려하는 바와 성의 치려하는 곳과

人之所欲殺 必先知其守將`````` 사람 射殺하려는곳 必히 먼저 그 戍將 알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사람 죽이려는 곳을 지키는 장수를 반드시 먼저 알고

左右 謁者 門者 舍人之姓名 `` 左右의 謁見하는 者 문 지키미 舍人의 姓名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곁에 두어 아뢰는 이 문 지키는 이 일보는 이의 이름을

令吾間必素知之``````````````````````` 우리 間諜으로 必是 平素에 探知토록 하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우리 간첩으로 반드시 낱낱이 알아오게 하고

必素敵人之間來間我者```````````` 必是 平素 敵間이 와서 우리를 廉探함이니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언제든 적의 간첩이 와서 우리를 넘보는 것은

因而利之 導而舍之`````````````````` `因間으로 利用하고 誘導해 베푼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둘러서 남음이 있게 되고 이끌어 꾀어 베푼다

故反間可得而用也```````````````````` 故로 反間을 얻을 수 있고 쓸 수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돌림 간첩을 얻을 수 있고 쓸 수 있다

因是而知之 故鄕間``````````````````` 因間은 周知함이다 鄕邑에 緣故한 間諜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런 까닭에 알게 됨이다 그래서 그 고을에서

內間可得而使也 因是而知之 ` 內間을 얻고 使用하니 因間으로 致知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안에 간첩 얻을수있고 부린다 이런 까닭에 알게 됨이다

故死間爲誑事可使告敵```````````` 故로 死間은 虛事로 속여 敵에 알리게 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알림간첩은 빈 일에 속아서 적에게 알리게 된다

因是而知之 故生間可使如期 ` 因間으로 致知함 故로 生間 使役해 期待함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이런 까닭에 앎이다 그래 틀린간첩으로 바램처럼 부린다

五間之事 君必知之`````````````````` 五間의 事情은 君主가 必히 熟知해야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다섯 간첩의 일 됨됨이는 임금이 반드시 알아야 한다

知之必在於反間```````````````````````` 致知함은 必히 反間에 있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알게 됨은 반드시 돌림 간첩에 있다

故反間不可不厚也```````````````````` 故로 反間은 不可不 厚待해야한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돌림간첩은 두텁게 하지 않을 수 없다

昔殷之興也 伊摯在夏````````````````伊摯가 夏에 있어 옛 殷이 興起했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잡을지```````` `````````````````````이지가 하나라에 있어 옛날 은나라가 일어났고

周之興也 呂牙在殷`````````````````` 呂牙가 殷에 있어 周나라가 興起했다

````````````````````음률려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여아가 은나라에 있어 주나라가 일어났다

故惟明君賢將```````````````````````````` 故로 생각하니 明晳한 君主 賢良한 將帥는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생각하니 밝은 임금과 어진 장수는

能以上智爲間者```````````````````````` 能히 上等의 智慧로 間諜이 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높은 슬기로 간첩이 함을 할 수가 있다

必勝大功 此兵之要`````````````````` `必히 이겨 큰 功 세움은 이 兵法의 要旨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이겨 큰 일 해냄은 이 병법의 알짜이다

三軍之所恃而動也``````````````````` `三軍의 恃賴하는 바이며 擧動함이다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모든 군의 믿고 기대는 바이며 들고 움직이는 것이다

五間

因間 : 아는 간첩

內間 : 안에 간첩

反間 : 돌림 간첩

死間 : 알림 간첩

生間 : 틀린 간첩



 

원문을 사자성어로 간략히 만들었음

 

計篇 第一```````````````` ``1. 헤아림 전쟁에 앞서의 판단사항

孫子曰兵 國之大事 ``孫子 말씀에 군사의 일이란 나라의 큰일이라

死生之地 存亡之道 `죽느냐 사느냐 남아 있느냐 사라지느냐 이다

不可不察 經之以五 `살펴야 함이라 다섯으로 가르친다

校之以計 而索其情 `헤아려 살펴서 그 사정을 찾으니

`五事 五事一道 二天三地``하나는 도리요 둘은 하늘이요 셋은 땅이요

四將五法````````````````````넷은 장수요 다섯은 법제이다

道者同意````````````````` `도리란 백성들과 뜻을 같이함이다

與死與生 民不詭也 `같이 죽고 같이 살아 백성이 속지 않는다

天者陰陽 寒暑時制 `하늘이란 陰과 陽 춥고 더움 그리고 때에 맞음이다

地者高下 遠近險易 `땅이란 높고 낮음 멀고 가까움 힘듦과 쉬움

廣狹死生````````````````````넓고 좁음 죽고 삶이다

將者智信 仁勇嚴也 `장수란 지혜 신념 인자함 용기 위엄 이다

法者曲制 官道主用 `법제란 잘못된 제도와 처리 과정과 잘 지켜지는가이다

凡此五者 將莫不聞 `이 다섯의 판단사항은 반드시 들어야만 한다

知之者勝 不知不勝 `이것을 알면 이기고 알지 못하면 못 이긴다

校之以計 而索其情 `그러니 헤아려 살펴서 그 사정을 찿는다

`七計 主孰有道 將孰有能 `어느 임금이 도리가 있는지 어떤 장수가 할 수 있는지

天之孰得 法令孰行 `때는 언제 인지 법령은 잘 지켜지는지

兵衆孰强 士卒孰練 `군대는 어디가 강한지 군사는 얼마나 익혔는지

賞罰孰明 吾知勝負 `상벌은 어디가 밝은지 이것으로 나는 이길지 질지 안다

將聽吾計 必勝留之 `장차 내 말을 들으면 반드시 이길 테니 내가 여기 남고

不聽吾計 必敗去之 `장차 내 말을 안 들으면 반드시 질 테니 나는 갈수밖에

計利以聽 爲勢佐外 `들으면 유리하고 힘이 되고 그 밖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

困利制權``````````````````` 세력이란 이롭지는 않아도 권위는 세운다

`十四 兵者詭道 能示不能 `병법은 속임이라 능력이 있어도 능력 없게 보임이다

``詭 用示不用````````````````````쓰이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임이다

近而示遠 遠而示近 `가까움은 멀게 보이게 하고 멀어도 가깝게 보이게 한다

利而誘之 亂而取之 `유리하면 유인하고 혼란하면 집어 먹음이다

實而備之 强而避之 `실하면 방비하고 강하면 피한다

怒而撓之 卑而驕之 `분노하여 어지러운 듯하고 형편없어도 잘난 척한다

佚而勞之 親而離之 `편안해도 힘쓰는 척하고 친하면 헤어진 듯한다

攻其不備 出其不意 `준비 안 된 곳을 공격하고 뜻 모르게 출격 한다

兵家之勝 不可先傳 `이것이 병가의 승리라 이보다 먼저 전할 것이 없다

未戰算勝 得算多也 `안 싸우고도 이긴다함은 계산이 이미 되었음이다

未戰不勝 得算少也 `안 싸우고 이기지 못한다함은 계산이 불리함이다

多算勝而 少算不勝 `계산이 유리하면 이기고 불리함은 이기지 못한다

況無算乎````````````````````하물며 계산을 하지 않을 것인가

吾以此觀 勝負見矣 `나는 이것을 따져서 승패를 미리 안다


作戰篇第二`````````````````2. 꾸며냄 전쟁에 임하여 해야 할일

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군사 쓰는 방법이란

馳車千駟 革車千乘 `달리는 수레 천대 가죽수레 천대 兵器 軍需

帶甲十萬 千里饋糧 `갑옷 병사 십만에 천리를 가는 식량이송 兵站 補給

內外之費 賓客之用 `안팎으로 드는 비용과 빈객의 쓰임도 알아야하고

膠漆之材 車甲之奉 `필요한 재료와 들어가는 물품으로

日費千金 十萬師擧 `하루 비용 천금 그 다음에 십만의 군사를 움직인다

用戰貴勝 久鈍挫銳 `싸워 이겨서 좋으나 오래 끌면 무디어 꺾인다

攻城力屈 久暴師用 `성 공격 힘 드는데 오래 몰아 부치면 나라 힘이 빠진다

鈍兵挫銳 屈力殫貨 `무딘 군대로 예봉이 꺾임은 힘 딸리고 돈 떨어짐이다

則諸侯乘 其弊而起 `이때 제후들이 들고일어나니 폐해가 크다

雖有智者 不能善後 `지혜가 있다 해도 그 뒤로는 잘될 수가 없다

`拙速 兵聞拙速 未睹巧久 `군대 쓰는 일은 얼른 빠르게 하고 곱게 끌 수 없다

兵久國利 未之有也 `싸움을 오래 끌어 좋을 것이 없다

故不盡知 用兵之害 `그래서 군대 쓰는 해로움을 다 알지 못한다 한다

不能盡知 用兵之利 `곧 군대 쓰는 이로움을 다 알지 못한다 하는 것이다

善用兵者 役不再籍 `용병 잘함이란 군에 두 번 부르지 않는다

糧不三載 取用於國 `군량은 세 번 나르지 않고 그 나라에서 얻어 쓴다

因糧於敵 軍食可足` 적에게 양식이 있으니 군사 제대로 먹일 수 있다

國貧遠輸````````````````````나라 가난함은 군사를 멀리 보냄이고

遠輸則貧 近師貴賣 `멀리 보내 가난해지고 군대 가까우면 팔아 치운다

貴賣財竭```````````````````팔아치워 백성의 재물이 마른다

財竭丘役`````````````````` 가진 것이 떨어지면 힘든 일을 하게 되고

力屈財殫 中原內虛 `힘 빠지고 돈 떨어져 온 나라의 속이 비었다

百姓之費 十去其七 `백성의 써버림에 열에 일곱이 사라지고

公家之費 破軍罷馬 `높은 집안의 써버림에 군사 흩어지고 말은 풀리고

甲冑矢弩 戟盾蔽櫓 `갑옷 투구 화살 활 창 방패 방비 망루

丘牛大車 十去其六 `소와 큰 수레 열에 여섯이 사라진다

智將食敵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슬기로운 장수는 적의 식량을 먹기에 힘쓴다

食敵一鐘 當吾二十 `적의 한 그릇을 먹음은 우리의 스무 그릇과 같고

芑秆一石 當吾二十 `적의 차조 한 섬은 우리의 스무 섬과 같다

殺敵怒也 取敵貨也` 적을 죽임은 화냄이나 적의 것을 얻음은 돈 됨이다

車戰得車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수레 싸움엔 수레를 얻음이 좋고

賞其先得 更其旌旗 `먼저 얻음에 상을 내리고 그 깃발을 고쳐 씀이다

車雜乘之 卒善養之 `수레대로 싣고 병졸 잘 키움이다

勝敵益强``````````````````` 이것을 일러 적을 이겨 더욱 강해짐이다 한다

故兵貴勝 兵不貴久 `그래서 병법에 승리가 좋고 오래 끔은 좋지 않다하고

知兵之將 民之司命 `그래서 병법 아는 장수는 백성을 맡음이다한다

國安危主````````````````````국가 안위를 맡은 으뜸이다


謀攻篇第三`````````````````3. 꾀함 싸움 않고 이기기

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군사 쓰는 방법이란

全國爲上 破國次之 `나라 온전함이 제일이요 나라 축냄은 다음이다

全軍爲上 破軍次之 `군대 온전함이 제일이요 군대 깨짐은 다음이다

全旅爲上 破旅次之 `부대 온전함이 제일이요 부대 지침은 다음이다

全卒爲上 破卒次之 `군졸 온전함이 제일이요 군졸 빠짐은 다음이다

全伍爲上 破伍次之 `병사 온전함이 제일이요 병사 다침은 다음이다

百戰百勝 非善之善 `百번 싸워 百번 이김은 안 좋은데서 좋음이다 下의 上

不戰屈人 善之善者 `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가장 좋다``````````````````上의 上

上兵伐謀 其次伐交 `그래서 꾀를 침이 최상 사귐을 침이 그 다음

其次伐兵 其下攻城 `군대를 침이 그 다음 성을 침은 그 아래이다

攻不得已 修櫓轒轀 `성을 할 수없이 친다면 망루와 수레를 고치고

具器三月 距闉三月 `기구 갖추는데 석 달 넘고 문밖에 와서 또 석 달이라

將不勝忿````````````````````장수는 그 분풀이를 못해

而蟻附之 殺三分一 `개미처럼 붙어 병사의 삼분의 일을 죽이고

城不拔者 此攻之災 `성을 빼앗지 못함은 공격의 재앙이다

善用兵者 屈人非戰` 병력 잘 써서 굴복시키는 것이지 싸워야 함이 아니다

拔城非攻````````````````````적의 성을 빼앗아도 공격은 안 함이다

破國非久````````````````````남의 나라를 부수어도 오래 끌지는 않는다

必爭天下 故兵不頓 `필히 온전하게 천하를 다툼에는 병사 다치지 않는다

而利可全 謀攻之法 `완전한 이익이 공격을 꾀하는 방법이다

用兵之法 十則圍之 `그래서 군사 쓰는 법은 열 곱이면 에워싸고

五則攻之 倍則分之 `다섯 곱이면 치고 곱이면 적을 나뉘게 한다

敵則能戰 少則能逃 `맞보면 싸울 수 있고 적보다 적으면 달아나면 되고

不若則避````````````````````안될 것 같으면 피하면 된다

小敵之堅 大敵之擒 `그래서 작은 적이 튼튼하고 큰 적은 사로잡음이다

將者國輔````````````````````장수라 함은 나라에 도움 됨이다

輔周國强 輔隙國弱 `두루 도우면 나라 강하고 틈만 메우면 나라 약하다

`三患 君患軍三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임금이 군에 대해 잘못 하는 것 셋이니

不可進進````````````````````나아갈 수 없음을 모르고 나아가라 하고

不可退退````````````````````물러설 수 없음을 모르고 물러가라 하니

是爲縻軍 不知軍事 `이것은 얽매인 군이라 삼군의 일을 모름이다

同三軍政 則軍士惑 `함께 모든 군을 다루면 군사 헷갈리게 되고

不知軍權 同三軍任 `군의 권위 무시함이며 함께 군을 휘두름이다

則軍士疑 三軍旣惑 `군사는 못 믿고 모든 군은 이미 헷갈렸으니

諸侯難至``````````````````` 제후의 잘못함이 끝에 다다름이다

`五知 亂軍引勝 知勝有五 `군사 어지러워 승리막음이다 승리를 앎에 다섯이 있으니

知可不可````````````````````싸울 수 있는지 없는지 앎에 이기고

識衆寡用``````````````````` 많고 적음의 쓰임을 알면 이기고

上下同欲````````````````````위와 아래 함께 하고자하면 이기고

虞待不虞````````````````````걱정 않게 갖추기를 걱정하면 이기고

能而不御````````````````````장수 능력 있고 임금 간섭 안하면 이긴다

知勝之道````````````````````이 다섯은 승리를 아는 도리이다

`知彼 知彼知己 百戰不殆``적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위태롭지 않다

不知而知 一勝一負 `적 모르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진다

不知不知 每戰必殆 `적 모르고 나를 모르면 싸움마다 위태롭다


形篇第四````````````````````4. 갖춤 질 수없는 모양 갖춤

昔之善戰`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예로부터 잘 싸움이란

先不可勝 侍敵之勝 `먼저 못 이길 것 같으면 적이 이기게 둔다

不可勝己 可勝在敵` 못 이기는 것은 나 때문이고 이기는 것은 적 때문이다

故善戰者 能不可勝 `그래서 싸움 잘함은 이길 수 없도록 함이다

不使敵勝````````````````````적이 반드시 이기게끔 하지는 않는다

故勝可知 而不可爲 `그래서 승리란 알 수 있으나 할 수는 없다

不可勝守 可勝攻也 `못 이기면 수비하고 이긴다면 공격 한다

守則不足 攻則有餘 `수비는 모자랄 때 공격은 여유 있을 때한다

善守藏地````````````````````좋은 수비는 모든 땅 아래에 감춤과 같고

善攻動天````````````````````좋은 공격은 온 하늘 위를 움직임과 같음이다

能保全勝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스스로 승리를 지키고 가질 수 있다

見勝衆知````````````````````승리를 내다봄은 모두가 아는 것인데 불과하다

非善之善``````````````````` 좋지 않음의 좋음이다

勝天下善````````````````````전쟁에 이김은 천하가 좋다하나

非善之善``````````````````` 좋지 않음의 좋음이다

擧不多力``````````````````` 솜털을 드는데 많은 힘이 들지 않고

見不明目`````````````````````해와 달은 밝은 눈 아니라도 보이고

聞不聰耳````````````````````우레천둥은 밝은 귀 아니라도 들린다

善戰者勝````````````````````예로부터 일러오길 잘 싸우면 이김이라

勝易勝者 故善戰勝 `쉽게 이기는 승리도 잘 싸워서 이김이다

無智無勇````````````````````지혜로 명성을 날림이 없고 용맹함의 무공이 없이도

戰勝不忒````````````````````싸움 이김에 어긋남 없고 어긋남이 없음은

所措必勝 勝已敗者 `조치하면 필히 이기고 이미 진 것마저 이김이다

故善戰者 立不敗地 `그래서 잘 싸운다함은 질 수 없는 자리에 서고

不失敵敗````````````````````적이 지는 것을 놓치지 않음이다

勝兵先勝``````````````````` 이래서 이기는 군대는 이겨놓고 찾아 싸우는데

敗兵先戰````````````````````지는 군대는 싸워놓고 나중에 승리를 바란다

善用兵者 修道保法 `군대 잘 부림은 도를 닦고 법을 지킴이다

能勝敗政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이기고 짐을 다스릴 수 있다

`五法 兵法一度 二量三數``병법에 하나는 제도가 좋은가 둘은 물산은 넉넉한가

四稱五勝````````````````````셋은 군사는 많은가 넷은 따져 가리니 다섯은 승리이다

地度量數````````````````````땅은 제도 낳고 제도는 물량 낳고 물량은 숫자를 낳고

生稱生勝````````````````````숫자는 판단을 낳고 판단은 승리를 낳는다

若鎰稱銖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이기는 군대는 무거움도 가볍게 여기고

若銖稱鎰``````````````````` 지는 군대는 가벼움도 무겁게 여긴다

勝者之民````````````````````승리는 싸울 줄 아는 백성에게 있다

決積水形````````````````````천길 골짝 모인 물이 터짐과 같은 모양이다


勢篇第五`````````````````````5. 지님 이기는 자세를 지님

治衆如寡``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군중을 다스림은 적은 이를 다스림과 같아

分數是也 鬪衆如寡 `수를 나눔이 이것이다 무리와 싸움은 小數와 싸움 같아

形名是也 三軍之衆 `진형의 이름이 이것으로 모든 軍衆이다 陣形 配置 布陣

受敵無敗``````````` ```````적의 공격을 받음에도 지지 않음이란

`奇正 奇正是兵`````````` ````````奇와 正 이 둘인데 병법에 첨가해야할 것이다

投卵虛實 ``````````````````자갈로 물고기 알을 덮는 것처럼 虛와 實이 이것이다

正合奇勝```````````````````무릇 싸움엔 正으로 합하고 奇로 이긴다 正規戰 正攻法

善出奇者 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싸운다는 것은 奇로부터 나옴이다 非正規戰

無窮天地 不竭江河 `끝없기는 하늘과 땅 같고 마르지 않기는 강물과 같다

復始日月````````````````````마치고 다시 시작하기는 바로 해와 달이고

復生四時 ``````````````````죽었다 다시 살아나기는 바로 네 계절이다

聲不過五 五聲之變 `소리는 다섯인데 다섯 소리의 변화는 宮商角徵羽

不可勝聽 ```````````````````다 들을 수가 없다

色不過五 五色之變 `빛깔은 다섯인데 다섯 빛깔의 변화는 黑白靑紅黃

不可勝觀````````````````````다 볼 수가 없다

味不過五 五味之變 `맛은 다섯인데 다섯 맛의 변화는 甘鹹辛酸苦

不可勝嘗````````````` ``````다 맛볼 수가 없다

戰勢寄正 奇正之變 `싸움겨룸에 奇正 둘인데 奇正 둘의 변화는 奇變 正常

不可勝窮````````````` ``````다 살필 수가 없다

奇正相生 循環無端 `奇正 서로 살림은 돌고 돌아서 끝이 없으니

孰能窮之```````````` ``````누가 다 살필 수 있겠는가

激水之勢```````````` ``````부딪혀 쏟아지는 물이 돌을 굴리는 기세다

鷙鳥之節```````````` ``````내리 꽂는 사나운 새 낚아채는 모습이다

勢險節短```````````` ``````이래서 싸움 잘함은 기세 사납고 절도 무섭다

勢如彉弩 節如發機 `기세는 활을 당김과 같고 절도는 투석기 쏨과 같다

紛紛紜紜 亂不可亂 `어지럽다 싸움이 어지러우나 어지럽게 하지는 않는다

渾渾沌沌 圓不可敗 `뒤섞여 어둡다 형태가 원만하면 질 수가 없다

亂生於治 怯生於勇 `다스림에서 어지러움이 나고 용감함에서 겁이 난다

弱生於强 治亂數也 `굳셈에서 여림이 나니 어지러움을 다스림은 數이다

`形勢 勇怯勢也 强弱形也 `날쌤과 겁냄은 勢이고 굳셈과 여림은 形이다

善動敵形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잘 움직이는 적은 形을 갖춤이다

敵必從予 敵必取之 `적이 필히 쫓으면 주어라 적은 필히 얻으려 한다

利動卒待```````````````````유리하면 움직일 테니 군사 시켜 기다린다

善戰求勢 不責於人 `그래서 잘 싸움은 기세에서 찾고 적을 나무라지 않는다

能擇任勢`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적을 선택할 수 있다면 勢에 맡겨둔다

如轉木石````````````````````勢에 맡김은 그 싸우는 사람이 굴러다니는 목석같음이다

木石之性 安靜危動 `목석의 성질은 두면 가만있고 들면 움직이는 것이다

方止圓行````````````````````반듯하면 멈추고 동글하면 굴러 간다

善戰人勢 如轉圓石 `그래서 잘 싸우는 이의 勢는 잘 구르는 둥근 돌이라

千仞之山````````````````````천 길의 낭떠러지에 굴러가는 듯한 勢이다


虛實篇第六`````````` `````6. 비움과 채움 유리하게 이끔

善處待佚`````````````````` 孫子 말씀에 싸우기 좋은 곳에 숨어 기다림은 편하다

後處趨勞`````````````````` 싸움터 뒤로 하고 쫓아 싸우면 지친다

善戰致人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싸움 잘함은 적을 다룸이지 다루어지지 않음이다

敵自至利`````````````````` 적이 스스로 이르게 함이니 유리하게 되고

敵不至害`````````````````` 적이 스스로 이르지 못하게 함은 해롭게 된다

敵佚能勞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적이 편안하면 지치게 만들고

飽能飢之 安能動之 `배부르면 굶주리게 하고 안정되면 동요하게 한다

出趨不意`````````````````` 쫓기면 나오는 것이니 뜻하지 않게 쫓는다

千里不勞`````````````````` 천리를 행군해도 지치지 않음은

行無人地```````````````````사람 없는 곳을 행군함이다

攻取不守`````````````````` 공격해서 반드시 얻음은 수비 없는 곳을 공격하고

守固不攻`````````````````` 굳게 지켜냄은 공격 못 하게 지킴이다

攻不知守`````````````````` 공격 잘함은 적이 지킬 곳을 모르게 하고

守不知攻`````````````````` 수비 잘함은 적이 공격할 곳을 모르게 한다

微微無形`````````````````` 작고 작아 형태 없음에 이르고

神神無聲`````````````````` 모르고 몰라 소리 없음에 이른다

敵之司命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적의 목숨은 내가 맡은 것이 된다

進不御虛`````````````````` 진격해서 제어하지 못함은 허무한 것이고

退不追者 速不及也 `퇴각하나 쫓아가지 못함은 빨라서 못 미침이다

我欲戰敵`````````````````` 내가 싸우려하면 적진 비록 높고 해자 깊어도

不得不戰`````````````````` 나와 더불어 싸울 수밖에 없으니

攻所必救`````````````````` 반드시 구원할 곳을 공격한다

我不欲戰 畵地守之` 내가 싸우고 싶지 않다면 땅을 긋고라도 지킨다

敵不戰乖`````````````````` 적은 싸울 수가 없어 돌아가는바 어그러진다

形人我無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적은 형태를 이루고 나는 형체가 없다

我專敵分 我專爲一 `나는 오롯이 하나인데 적은 나뉜다 나는 하나로 뭉치고

敵分爲十 十攻其一 `적은 열로 쪼개진다 이것이 열이 하나를 침이다

`衆寡 我衆敵寡 能衆擊寡``나는 많고 적은 적다 많음은 적음을 쳐부술 수 있다

吾與戰約````````````````````나와 더불어 싸우는 이는 묶여 줄어든다

戰地不知``````````````````` 나와 싸우는 곳을 알 수 없다 알 수 없다란

敵所備多``````````````````` 적은 지킬 곳이 많아진다 적 지킬 곳이 많다란

吾所戰寡``````````````````` 내가 싸워야 할 적군은 적어지는 것이다

備前後寡 備後前寡 `그래서 앞을 지키면 뒤가 적고 뒤 지키면 앞 적다

備左右寡 備右左寡 `그래서 왼쪽 지키면 오른쪽 적고 우측 지키면 좌측 적다

無不備寡`````````````````` 지키지 않음이 없음은 적지 않음이 없다

寡者備人`````````````````` 수가 적음은 적을 지키기 때문이고

衆使備己`````````````````` 수가 많음은 적이 나를 지키게 되기 때문이다

知戰地日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싸울 곳을 알고 싸울 날을 알면

可千里戰`````````````````` 천리를 가서라도 대적해 싸울 수 있다

不知地日`````````````````` 싸울 곳을 모르고 싸울 날을 모르면

左不救右 右不救左` 좌측은 우측을 못 돌보고 우측은 좌측을 못 돌본다

前不救後 後不救前` 앞은 뒤를 못 돌보고 뒤는 앞을 못 돌본다

遠數十里 近者數里` 하물며 멀면 몇 십리이고 가까워도 몇 리인데

度越兵多`````````````````` 내가 가늠하기에 월나라 군이 비록 많으나

亦益勝敗`````````````````` 어찌 승패에 이익만 될 것인가

故勝可爲`````````````````` 그래서 말하길 이길 수 있게 하리라

敵衆無鬥`````````````````` 적이 비록 많으나 싸움이 없게 하면 되고

策而知計`````````````````` 그래서 책략으로 얻고 잃음의 셈을 하고 得失之計

作而知理`````````````````` 작전을 세움에 움직임과 고요함의 이치를 알고 動靜之理

形而知地`````````````````` 진형을 갖춤에 죽음과 삶의 지형을 알고 死生之地

角而知處`````````````````` 싸움에 나서서는 남고 모자람의 자리를 알면 餘不足處

形兵之極 至於無形` 形勢갖춘 군대의 극치로 形이 없음에 이른다

無形不窺 智者不謀 `形이 없어 엿보지 못하고 지혜로워도 꾀할 수 없다

因形錯勝 衆不能知` 形으로 섞어 이김에 다른 이는 모두 알 수가 없고

皆知勝形`````````````````` 내가 이긴 진형은 남이 다 알아도

`制勝 莫知制勝`````````````````` 내가 이기게끔 한 진형은 남이 알 수가 없다

其勝不復 應形無窮 `그 이김은 두 번 다시없다 끝없이 진형을 응용 한다

兵形象水 避高趨下` 군의 진형은 물과 같아 물 흐르듯 아래로만 달린다

避實擊虛`````````````````` 군의 진형은 실함을 피해 허함을 공격 한다

因地制流 應敵制勝 `물은 땅에 맞춰 흐르고 군은 적을 맞아 이기게 한다

兵無常勢 水無常形` 군의 기세 늘 같지 않고 물의 모양 늘 같음이 없다

因敵取勝``````````````````` 적에 따라 바뀌어 승리를 얻으니 일러 神이라

行無常勝 時無常位 `五行은 늘 이김이 없고 四時는 늘 머무름이 없다

日有短長 月有死生 `해는 짧았다 길었다 하고 달은 기울었다 참이 있다


軍爭篇第七``````````````` 7. 다툼 먼저 누른다

用兵之法`````````````````` `孫子 말씀에 군사 쓰는 법은

合軍聚衆`````````````````` `임금의 명을 받아 군대를 합하고 무리를 모움이다

交和而舍 莫難軍爭 `외교를 맺고 끊어 군사 다툼에 어려움이 없게 한다

`迂直 軍爭迂直 ``````````````````군사다툼의 어려움은 멀리 돌아감이 바로감이다

爲利迂途````````````````````걱정함으로써 유리하게 된다 그래서 그 길이 멀다

誘之以利 後發先至` 이익으로 꾀어 남보다 늦게 가서 남보다 앞서 닿음이다

知迂直計 ```````````````````이는 멀어서 곧바름의 계략을 아는 것이다

軍爭爲利 軍爭爲危` 그래서 군사다툼은 이익이 되거나 위기가 된다

擧軍爭利````````````````````군사를 일으켜 이익을 다툰다면 미치지 않음이다

委軍爭利 則輜重捐 `군에 맡겨서 이익을 다투려면 짐수레 무겁게 해줌이다

卷甲而趨 日夜不處` 이래서 쇠뇌 갑옷입고 달려 날밤 머물지 않아

倍道兼行 百里爭利 `곱의 길을 아울러 간다 백리에서 이익을 다투면

擒三將軍 勁先疲後 `삼장군이 사로잡히고 튼튼한 이 앞서고 지친 이 뒤서서

十一而至 五十里爭` 열에 하나가 이르는 법이다 오십리에서 이익을 다투면

蹶上將軍 其法半至` 상장군이 엎어지니 그 반이 이르는 법이다

三十里爭 三分二至 `삼십리에서 이익을 다투면 셋에 둘이 이른다

無輜重亡 ```````````````````이래서 군의 짐수레가 무겁지 않으면 망한다

無糧食亡 無委積亡 `양식이 없으면 망하고 맡겨쌓아 놓은 것 없으면 망한다

不知諸侯 不能豫交` 그래서 제후의 모책을 알지 못하면 미리 외교를 못한다

不知山林 險阻沮澤` 산림이 험난한지 못 모양이 어떤지 알지 못하여

不能行軍 不用鄕導 `행군을 할 수 없고 향도를 쓸 수도 없고

不得地利`````````````````` 지형의 도움을 얻을 수도 없다

兵以詐立 兵以利動 `그래서 병법은 속임수로 세우고 이익으로 움직이고

分和爲變````````````````````나눔으로 조화로워 변화하게 된다

`六變 其疾如風 其徐如林 `그래서 바람같이 달리고 숲처럼 가만히 있고

侵掠如火 不動如山 `불같이 달려들어 빼앗고 산처럼 움직이지 않는다

難知如陰 動如雷震 `그늘처럼 알기가 어렵고 우레천둥같이 움직인다

鄕廓分守 懸權而動 `땅 뺏어 나누고 둘레 나눠 지키고 상 걸어 다스린다

知迂直勝 ``````````````````멀어서 곧바름의 계략을 먼저 알면 이긴다

軍爭之法 ``````````````````이것이 군사다툼의 방법이다

言不相聞 故爲鼓鐸 `군사 다스림에 말이 서로 안 들려 북과 징을 쓰고

視不相見 故爲旌旗` 시야에 서로 들어오지 않아 그래서 깃발을 쓴다

金鼓旌旗 ```````````````````징(후퇴알림) 북(전진알림) 깃발(소속알림)

一民耳目 ```````````````````한사람의 귀와 눈같이 되는 까닭이다

民旣專一 勇不獨進 `백성은 이미 하나가 되어 용감해 홀로 돌진함 아니고

怯不獨退 用衆之法` 겁이나 홀로 물러섬 아니니 이는 무리를 쓰는 법이다

夜戰多鼓 晝戰多旌 `그래서 밤엔 불과 북 많이 쓰고 낮엔 깃발을 많이 쓴다

變民耳目 변화하는` 상황에서 사람의 귀와 눈이 되는 까닭이다

三軍奪氣 將軍奪心 `그래서 모든 군의 기세를 뺏고 장군의 마음을 빼앗는다

故朝氣銳 晝惰暮歸 `아침의 氣는 날카롭고 낮엔 늘어지고 저녁엔 사라진다

善用兵者 避其銳氣 `그래서 군사 잘 쓴다 함은 날카로운 氣를 피하는 것이다

`四治 擊其惰歸 此治氣者``그 느슨해진 氣를 공격함이 바로 氣를 다스리는 것이다

以治待亂 以靜待嘩 `다스려서 어지럽히고 가만히 두어 시끄럽게 한다

此治心者 以近待遠` 바로 마음을 다스림이다 가까움으로 멀도록 하고

以佚待勞 以飽待飢` 편안함으로 지치게 하고 배부름으로 배고프게 한다

此治力者 無邀正正` 바로 힘을 다스림이다 깃발 꼿꼿한 적을 맞이하지 말고

無擊堂堂 此治變者 `튼튼한 진을 공격 말라 이는 바로 변화를 다스림이다

`八勿 用兵之法 高陵勿向``그래서 용병의 법에 높은 언덕은 향하지 말고

背丘勿逆 佯北勿從 `언덕을 등지고 나가지 마라 거짓 패배를 쫒지 마라

銳卒勿攻 餌兵勿食` 날카로운 적을 치지마라 미끼 군병을 먹지마라

歸師勿遏 圍師必闕` 돌아가는 군대 막지마라 에워싸인 군대는 반드시 날뛴다

窮寇勿迫 此用兵法` 몰린 적은 다그치지 마라 이것은 용병의 법이다


九變篇第八 ````````````````8. 아홉의 바뀜 상황에 대처하라

用兵之法 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무릇 군사 쓰는 법은

合軍聚衆 ```````````````````임금의 명을 받아 군대를 합하고 무리를 모움이다

泛地無舍 衢地交和` 뜬 땅 버림이 없고 엇갈린 땅 어울리게 걸치고

絶地勿留 圍地則謀 `끊긴 땅에서는 머물지 말고 둘러싸인 땅이면 꾀하고

死地則戰 ``````````````````죽는 땅이면 싸운다

`五不 塗有不由 軍有不擊``곡절 모를 길이 있고 공격 못할 군대가 있다

城有不攻 地有不爭` 침공 못할 성이 있고 다투지 못할 땅이 있다

君命有不 ``````````````````받아들이지 못할 임금의 명령이 있다

將通九變 知用兵矣 `그래서 장수는 九變의 이익을 꿰뚫어 용병을 안다한다

九變之利 ``````````````````장수가 九變의 이익에 통하지 않음은

雖知地形 不得地利 `비록 지형을 알아도 地利는 얻을 수 없고

治兵不知 九變之術 `군을 다스림에 아홉의 변화하는 기술을 알지 못함은

雖知五利 不得人用 `비록 五利를 알아도 사람을 부려 쓸 수 없다

智者之慮 雜於利害 `이래서 아는 이의 걱정 필히 利害에 뒤얽힌다

雜利務信 ``````````````````이익에 뒤얽혀도 믿을 수 있는 일이고

雜害患解 ``````````````````해악에 뒤섞여도 풀 수 있는 걱정이다

屈諸侯害`````````````````` 이래서 제후에게 굽힘은 해악으로이고

役諸侯業 趨諸侯利 `제후를 부림은 과업으로 하니 제후가 이익을 쫓기 때문

用兵之法 無恃不來 `그래서 용병의 법은 그 오지 못함을 믿지 않음이다

恃吾有待 無恃不攻` 나를 믿으면 기다림이 있고 그 공격 안함은 믿지 못함

恃吾不攻`````````````````` 나를 믿기에 공격할 수 없는 것이다

`五危 將有五危 ``````````````````그래서 장수는 다섯의 위기가 있다

必死可殺 必生可虜 `죽기로 하면 죽일 수 있고 살려고 해서 사로잡힌다

忿速可悔 廉潔可辱 `성내어 덤비면 뉘우치고 꼿꼿 깔끔하면 쪽 팔린다

愛民可煩 ```````````````````백성을 아껴 괴롭다

五者將過 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다섯은 장수의 지나침이다

用兵之災 覆軍殺將 `군사 씀의 큰일이다 군 엎어지고 장수 죽인다

必以五危 不可不察` 반드시 다섯의 위기는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
行軍篇第九`````````````````9. 군대를 움직임 나아가고 물러나기

處軍相敵 ```````````````````孫子 말씀에 무릇 군대 머물러 적 마주하기는

絶山依谷 視生處高 `산을 넘을 때는 골짝에 의하라 시야 트임은 높이 있음

戰隆無登 處山之軍` 싸움이 크면 오르지 않는다 이는 산에 주둔한 군대이다

絶水必遠 客絶水來 `물을 건널 때는 반드시 멀리서하라 손은 건널 때 온다

勿迎水內 令半濟擊 `물 안에서 맞지 말라 반은 건너게 두고 공격 한다

利欲戰者 無附水迎 `유리해 싸우려 해도 물에 붙지는 말고 손을 맞이하라

視生處高 無迎水流 `시야 트임은 높이 머뭄이고 물이 흐름에 맞지 말라

處水上軍``````````````````` 이는 물위에 주둔한 군대이다

斥澤無留 ```````````````````진펄 늪 건너기 아 머뭇거림 없이 빨리 가야 함이다

交軍斥澤 必依水草 `진펄 늪 가운데서 군을 만나면 필히 물풀에 맡긴다

而背衆樹 處斥澤軍` 많은 나무는 등진다 이는 진펄 늪에 머문 군이다

平陸處易 而右背高 `평평한 육지는 머물기 쉽다 높은 곳을 오른쪽에 둔다

前死後生 處平陸軍 `앞은 死地 뒤는 生地 이는 평지에 주둔한 군대이다

`四利 此四軍利 ``````````````````무릇 이 넷은 군대의 유리함이다

黃帝所勝 ```````````````````황제가 네 임금을 이기는 까닭이다

好高惡下 貴陽賤陰 `군은 높으면 좋고 아래는 싫다 양지 쳐주고 음지 깔본다

養生處實 軍無百疾` 삶을 길러 내실을 기하여 군에 온갖 괴로움은 없다

是謂必勝 丘陵堤防 `이것을 일러 반드시 이김이다 언덕과 제방에서는

必處其陽 而右背之 `반드시 볕이 바른 곳에 주둔하고 오른쪽에 이를 둔다

兵利地助`````````````````` `이것이 군병의 유리함이고 땅의 도움이다

上雨沫至 ``````````````````상류에 비가 내리면 물거품이 떠내려 온다

欲涉待定 ``````````````````물을 건너려면 안정되기를 기다려야한다

地有絶澗 天井天牢 `무릇 땅엔 건너야할 시내가 있으니 빠진 곳 싸인 곳

天羅天陷 天隙亟去` 벌린 곳 패인 곳 갈라진 곳이라 반드시 빨리 지나고

吾遠敵近``````````````````` 가까이마라 나는 멀리하고 적은 가까이하고

吾迎敵背 ```````````````````나는 이를 맞이하고 적은 이를 등진다

軍旁有險 井生葭葦 `군대 주변에 풀 우거진 웅덩이와 갈대 난 우물로 험하고

山林蘙薈 ``````````````````산림은 무성하게 우거져 있으니

謹愼復索 ``````````````````반드시 삼가고 다시 살펴야한다

伏姦所處 ``````````````````이는 복병이 머물러 있는 곳이다

敵近而靜 恃其險也` 적이 가까운데 고요함은 그 험함을 믿음이다

遠而挑戰 欲人之進 `멀리 있는데 싸움을 돋움은 나아가려 함이다

所居易利````````````````````그 머물러 있음은 쉽게 유리해짐이다

衆樹動來 ```````````````````많은 나무가 움직이는 것은 적이 오는 것이다

衆草障疑 ```````````````````많은 풀이 여러 곳을 가림은 의심스러움이다

鳥起者伏 獸駭者覆` 새 날아오름은 매복이 있고 짐승 놀라 뜀은 뒤짐 있다

塵高銳車 ``````````````````먼지 높이 날아 날카로움은 수레 옴이다

卑廣徒來 ``````````````````낮게 깔려 넓음은 무리지어 걸어옴이다

散達樵採```````````````````흩어지고 갈라져 이음은 나무를 채취하는 것이고

少往來營 ``````````````````적은 수가 오고감은 머물러 진을 침이다

卑益備進 ``````````````````펼침을 거두어 방비를 더함은 나아감이고

詭强驅退 ``````````````````속임을 거두고 세게 몰아세움은 물러남이다

輕車側陳 ``````````````````가벼운 수레 먼저 나와 그 곁에 앉힘은 진열함이다

無約請謀 ``````````````````약속 없이 화친하자 함은 꾀함이다

奔走陳期 ``````````````````분주히 병력을 펼침은 기다림이다

半進退誘 ``````````````````반은 나아가고 반은 물러감은 꼬임이다

倚杖立飢 ``````````````````지팡이 짚어 일어섬은 굶주림이다

汲先飮渴 ``````````````````물을 길어 먼저 마심은 목마름이다

利不進勞 ``````````````````이익을 알고도 나아가지 않음은 지침이다

鳥集者虛 夜呼者恐 `새가 모임은 비어있음이고 밤에 부름은 두려움이 있다

軍擾將輕 ``````````````````군대가 들썩이는 것은 장수가 무겁지 않음이다

旌旗動亂 ``````````````````깃발이 움직이는 것은 어지러움이다

吏怒者倦 ``````````````````관리가 성을 냄은 게으름이 있고 조와 말고기를 먹는다

軍無懸缶 不返其舍 `군에 솥 걸림이 없고 버려 돌려주지 않음은

窮寇諄翕 ```````````````````궁핍한 도둑이다 타일러 함께 한다

徐與失衆 ```````````````````사람 더불어 천천히 말함은 무리를 잃음이다

屢賞者窘 數罰者困 `누차 상 줌은 군색함이고 자주 족침은 곤혹함이다

先暴後畏 不精之至 `먼저 사납고 뒤에 두려운 무리는 알차지 않다

謝欲休息 ``````````````````와서 맡긴 바를 물리는 것은 몸과 맘 쉬려함이다

兵怒相迎 久而不合 `군사 성내도 서로 맞이하고 오래있어도 함께하지 않고

又不相去 必謹察之 `서로 떨어짐도 아니면 반드시 삼가 살핀다

兵非貴多 惟無武進 `兵은 귀한 것 아닌데 많아지고 武는 나아짐이 없구나

足以幷力 料敵取人 `힘 어울러 충분하고 적을 잘 따져 사람을 얻음이다

無慮易敵 必擒於人 `대저 염려 안하는 손쉬운 적은 반드시 남에게 잡힌다

未親而罰 ``````````````````군졸을 친하지 않다고 처벌하면 복종 안하고

不服難用 ``````````````````복종을 안 하면 쓰기가 어렵다

親罰不行 ``````````````````군졸이 이미 친하다고 벌을 주지 못하면

不可用也 令之以文 `이에 쓸 수가 없다 그래서 명령은 문서로 내린다

齊之以武 是謂必取 `무예로 가지런히 함 이것을 일러 반드시 얻는다한다

素行敎民 則民服從 `백성 가르치길 할 수 있음을 시키면 백성이 따르고

素不行敎 則民不服 `백성 가르치길 할 수 없음을 시키면 백성은 안 따른다

令素行者 與衆相得 `할 수 있음을 시킴이란 무리 더불어 서로 얻음이다


地形篇第十``````````````` 10. 땅의 모양 땅 알아보기

`六形 有通 有挂````````````````` 孫子 말씀에 지형에는 뚫림이 있고 걸림이 있고

有支有隘 有險有遠 `가름이 있고 좁음이 있고 삐딱함이 있고 멈이 있다

我往彼來 ``````````````````나는 갈 수 있고 적은 올 수 있다

曰通通形 先居高陽 `일러 뚫림이라 뚫린 지형은 높은 양지를 먼저 차지한다

利糧道戰 ``````````````````군량 수송에 유리하고 싸움에도 유리하다

可往難返 曰挂挂形 `갈 수 있고 돌아오기 어렵다 일러 걸림이라 걸린 지형은

無備出勝 ``````````````````적의 방비가 없어 나오면 이긴다

敵若有備 出而不勝` 적의 방비가 있으면 나와도 이기지 못한다

難返不利 我出不利 `즉 돌아오기 어려워 불리하다 내가 나가도 불리하고

彼出不利 曰支支形 `적이 나와도 불리하다 일러 가름이라 가른 지형은

敵雖利我 我無出也 `적이 비록 나보다 나으나 나는 나가지 않는다

引而去之 敵半出擊 `유인하면 가는데 적의 반이 나왔을 때 공격 한다

隘形先居 ``````````````````유리하니 좁은 지형은 내가 먼저 차지한다

必盈待敵 若敵先居 `적 기다려 반드시 채운다 만약 적이 먼저 차지해

盈而勿從 不盈而從 `들면 쫓지 마라 들지 않으면 쫓아라

險形先居 必居高陽 `삐딱한 지형은 내가 먼저 높은 양지를 차지해 기다린다

若敵先居 引去勿從 `만약 적이 먼저 차지하고 유인하면 가더라도 쫓지 마라

遠形勢均 難以挑戰 `먼 지형은 세력이 고르므로 싸움을 도발하기 어렵다

戰而不利 六者地道 `싸워서 불리하다 무릇 이 여섯은 지형의 도리이니

將之至任 不可不察 `장수의 지대한 임무이다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`六過 兵有走馳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병법에 달아남이 있고 제멋대로 됨이 있고

陷崩亂北 ```````````````````빠짐이 있고 무너짐이 있고 어지럼이 있고 짐이 있다

此六將過```````````````````무릇 이 여섯은 天災가 아니라 장수의 지나침이다

勢均曰走 ``````````````````대저 세력 고른데 하나로 열을 치니 일러 달아남이다

卒强吏馳 吏强卒陷 `졸 세고 관리 여려 제멋대로임 관리 세고 졸 여려 빠짐

吏怒不服 遇敵懟戰 `관리 성내면 안 따르고 적 만나 원망하면 혼자 싸운다

不知能崩 將弱不嚴` 장수가 능력을 모르면 무너짐이고 장수 약해 위엄 없고

敎道不明 吏卒無常 `도리를 가르침이 밝지 않으면 관리와 졸병 일정함 없다

陳縱橫亂 將不能料` 군사 종횡 벌림은 어지럼이고 장수 적 헤지 못해 적게

以弱擊强````````````````````무리지어 약함이 강함을 공격하고 선봉을 가리지 않아

無鋒曰北 此六敗道 `짐이라 무릇 이 여섯은 패배하는 길이다

將之至任 不可不察 `장수의 지대한 임무이다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地形兵助 料敵制勝 `지형은 전쟁에 도움 됨이다 적을 살펴 이기게 함이다

計險遠近 上將之道 `위험한 재앙의 원근을 계산함은 상장군의 도리이다

知此必勝 ``````````````````이것을 알아서 싸움에 쓰면 반드시 이긴다

不知必敗 ``````````````````이것을 모르고 싸움에 달려들면 반드시 진다

`無戰 戰道必勝 主曰無戰``고로 싸움의 道에 필히 이김은 바로 싸움안함이다

必戰可也 戰道不勝` 반드시 싸운다함도 옳다 싸움의 道에 이기지 않음은

主曰必戰 無戰可也` 바로 반드시 싸운다 함이니 싸움 안함이 가능하다

進不求名 退不避罪 `그래서 나아가 이름 못 내고 물러나 죄 못 벗음이다

惟人是保 利合於主 `아 지키는 사람 따로 있고 이익은 군주에게 더하니

國之寶也 視卒嬰兒 `나라의 보배이다 군졸을 갓난아이 돌보듯 함이다

與赴深溪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깊은 시내에 더불어 나아갈 수 있다

視卒愛子 可與俱死 `군졸 봄이 아끼는 자식 같아 함께 죽을 수 있다

厚不能使 愛不能令` 두터우면 시킬 수 없고 아끼면 부릴 수가 없다

亂不能治 ```````````````````어지러운데 다스릴 수 없으니

譬若驕子 不可用也 `버릇없는 아이 같아서 쓸 수가 없음이다

知吾可擊```````````````````우리 군사가 공격할 수 있음을 알고

不知敵不 勝之半也 `적이 공격할 수 없음을 모르는 것은 승리의 반이다

知敵可擊 ``````````````````적이 공격할 수 있음을 알고

不知吾不 ``````````````````우리 군사가 공격할 수 없음을 알지 못하는 것은

勝之半也 知敵可擊 `승리의 반이다 적이 공격할 수 있음을 알고

知吾可擊 ``````````````````우리 군사가 공격할 수 있음도 알고 있으나

不知地不 ``````````````````지형이 싸울 수가 없음을 알지 못하는 것은

勝之半也 故知兵者 `승리의 반이다 그래서 병법을 안다 함이란

動而不迷 擧而不窮` 움직여도 헤매지 않고 들고도 다하지 못함 이것을 일러

知己知彼 勝乃不殆` 나를 알고 적을 알아 이김에 위태롭지 않다

知天知地 勝乃可全 `하늘을 알고 땅을 알아 이김에 완전할 수 있다


九地篇第十一`````````````11. 아홉의 땅 땅에 따라 맞추기

`九地 用兵之法 地有散地 `孫子 말씀하길 군사 쓰는 법에 흩어지는 땅이 있고

輕地爭地 交地衢地 `가벼운 땅 다투는 땅 엇갈린 땅 네 갈래 땅이 있고

重地泛地 ``````````````````무거운 땅 떠있는 땅이 있고

圍地死地 ``````````````````둘러싼 땅 죽는 땅이 있다

諸侯自戰 地爲散地 `제후 스스로 싸우니 그 땅은 흩어지는 땅이 되고

入人之地 不深輕地 `남의 땅에 들어와도 깊지가 않아 가벼운 땅이 되고

我彼得利 故爲爭地 `나도 남도 가지면 좋으니 다투는 땅이 되고

我往彼來 故爲交地` 나도 갈 수 있고 남도 올 수 있으니 엇갈린 땅이 되고

諸侯地三````````````````````제후의 땅은 세 가지에 속한다

先至得衆 故爲衢地 `먼저 와서 천하의 무리를 얻으면 네 갈래 땅이 되고

入人地深 背城重地` 남의 땅 들어와 깊어 많은 성읍 등짐은 무거운 땅 되고

行山林險 ``````````````````산림을 가면 험하고 막히니

難行之道 故爲泛地 `무릇 나아가기 어려운 길이라 떠있는 땅이 되고

所由入隘 所從歸迂 `들어가면 좁아서 따라 돌아가기 멀고

彼寡可擊 故爲圍地 `적이 적어 우리 무리가 칠 수 있으니 둘러싼 땅이 되고

疾戰則存 不疾戰亡 `빨리 싸우면 남아있고 빨리 안 싸우면 잃어버리는

故爲死地 散地無戰 `죽는 땅이 된다 이래서 흩어지는 땅은 싸워서 없어지고

輕地無止 爭地無攻 `가벼운 땅은 그침이 없고 다투는 땅은 공격이 없고

交地無絶 衢地合交 `엇갈린 땅 끊임이 없고 네 갈래 땅 합쳐 엇갈린 땅 된다

重地則掠 泛地則行 `무거운 땅은 노략질하고 떠있는 땅은 다니게 되고

圍地則謀 死地則戰 `둘러싼 땅은 도모하고 죽는 땅은 싸우게 된다

`八使 古善用兵 能使敵人``이른바 예부터 용병 잘함은 적 시켜 할 수 있음이

前後不及 衆寡不恃 `앞뒤가 서로 이르게 않고 많고 적음이 서로 믿게 않고

貴賤不救 上下不扶` 귀천이 서로 구하게 않고 상하가 서로 돕게 하지 않고

卒離不集 兵合不齊 `병졸 떠나 모이게 않고 병력 합해 가지런하게 하지 않고

合於利動 不合利止 `이익에 붙어 움직이게 하고 이익에 틀리면 그치게 한다

敵整將來 待之若何 `감히 물어 적군 가지런해 장차 올 텐데 기다려 어떠할까

先奪所愛 ``````````````````일러 그 아끼는 바를 먼저 빼앗으면 받아들일 것이다

兵情主速 衆人不及 `병법의 뜻은 주로 속력이라 무리지어 가면 못 미친다

不虞之道 攻所不戒 `걱정 안하는 도리이기에 지키지 않는 곳을 친다

爲客之道 深入則專 `무릇 손님되는 도리라 깊이 침입하면 전념하게 된다

主人不克 三軍足食 `주인이 이기지 못해 기름진 들 뺏으니 삼군을 다 먹인다

謹養勿勞 倂氣積力` 삼가 길러 헛수고 말고 기세 아울러 힘을 쌓는다

運兵計謀 爲不可測 `군사 부림에 꾀를 쓰고 그렇게 함에 잴 수 없도록 한다

投無所往 死且不北` 투항해 갈 곳이 없고 죽어도 달아나지 않으니

死焉不得 士人盡力` 죽음이란 얻지 않고 병사는 힘을 다한다

甚陷不懼 無所往固 `병사 매우 빠져도 두려워않고 갈 곳이 없으니 굳세다

深入則拘 不得已鬪 `깊이 침입하면 잡히니 하는 수 없이 싸운다

兵不修戒 不求而得 `이래서 군사 수련 않고 지킨다함은 찾지 않고 얻음이다

不約而親 不令而信 `맺지 않고 친근함이란 시키지 않고 믿음이다

禁祥去疑 至死無所 `부풀음 금하고 두려움 없애 죽음에 이르러도 갈 데 없다

士無餘財 非惡貨也 `우리 군사의 재화 여분 없음은 재화가 싫어서 아니고

士無餘命 非惡壽也` 목숨 여유 없음은 목숨이 싫어서가 아니다

令發之日 士卒涕襟` 명령 발한 날 사졸은 앉아 눈물로 옷깃이 젖는다

偃臥淚交 投無所往 `쓰러져 누워도 눈물이 흐르고 항복해 갈 곳도 없어

諸劌之勇 ``````````````````모두가 상처입어 다쳐도 용감하다

善用兵者 譬如率然` 그래서 용병 잘함은 솔연에 비유하니 솔연이란

常山之蛇 擊首尾至 `상산의 뱀이다 머리를 치면 꼬리가 이르고

擊尾首至````````````````````꼬리를 치면 머리가 이른다

擊中俱至 ```````````````````가운데를 치면 머리꼬리 함께 이른다 감히 물어

可如率然 ``````````````````군사를 솔연처럼 부릴 수 있겠는가 이르길 옳다

吳越相惡````````````````````대저 오나라 월나라 사람들은 서로 미워한다

同舟而濟````````````````````같은 배를 타고 물을 건너는데 바람을 만났다

遇風相救 ```````````````````서로 도움이 오른손과 왼손 같을 것이다

方馬埋輪 未足恃也 `이래서 말이 바퀴를 빠뜨림은 믿기에 충분하지 않다

齊勇政道 ```````````````````가지런함과 날램은 하나같이 다스림의 도리이다

剛柔地理 善用兵者 `굳셈 부드러움 다 얻으니 땅의 이치라 고로 용병 잘함은

攜手一人 不得已也 `손 끌기가 한사람 같아 마지못함이다

將軍之事 靜幽正治 `장군의 일은 그윽해 고요하고 다스려 바르다

能愚耳目 使之無知 `사졸의 귀와 눈을 어둡게 하여 알지 못하도록 한다

易事其謀 使人無識 `일 바꾸고 꾀 고쳐서 남이 알 수 없게 한다

易居迂途 使人不慮 `거처 바꾸고 길을 돌아 남이 걱정 못하도록 한다

帥與之期 登高去梯 `장수가 주는 기대는 높은 곳 올라 사다리 치움과 같다

帥與深入 ```````````````````장수가 주는 것은 제후의 땅에 깊이 들어가게 함이다

發機焚破 若驅群羊 `투석기 쏘아 배 불사르고 솥 부수고 양떼 몰듯 한다

驅往驅來 莫知所之 `몰아가고 몰아 와서 갈 곳을 알 수 없다

聚三軍衆 投之於險` 삼군을 모두 모아서 험한 곳에 던지는 것이다

將軍之事 九地之變` 이것을 일러 장군의 일이라 아홉 땅의 변화라 한다

屈伸之利 人情之理` 굽히고 폄의 이익이며 사람 감정의 이치이니

不可不察``````````````````` 살피지 않을 수 없다

爲客之道 深專淺散 `무릇 객이 되는 도는 깊어 전념하고 얕아 흩어짐이다

越境絶地````````````````````국경을 넘어서 가는 군대는 땅이 끊겼음이다

四達衢地 入深重地 `사방 트임은 네거리 땅이고 들어가 깊음 무거운 땅이다

入淺輕地 背固圍地 `들어 얕음 가벼운 땅이고 뒤 굳고 앞좁음 둘러싼 땅이다

無往死地````````````````````갈 데가 없음은 죽는 땅이다

是故散地 一志輕地 `이래서 흩어지는 땅이고 장차 내 뜻은 가벼운 땅이다

使屬爭地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시켜 속하도록 하는 것은 다투는 땅이다

趨後交地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그 뒤를 쫓는 것은 엇갈린 땅이다

謹守衢地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삼가 지키는 것은 네 갈래 땅이다

固結重地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굳게 맺는 것은 무거운 땅이다

繼食泛地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그 먹음을 잇는 것은 떠있는 땅이다

進塗圍地``````````````````` 장차 내가 그 진탕에 나아가는 것은 둘러싼 땅이다

塞闕死地``````````````````` 장차 내가 그 문을 막는 것은 죽는 땅이다

示以不活 ```````````````````장차 내가 살지 않는 것으로 보임이다

兵情圍禦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군대의 뜻함은 둘러싸이면 맞서고

得鬪過從`````````````````````할 수 없으면 싸우고 지나가면 쫓는다

不知侯謀 ````````````````````이래서 제후의 꾀함은 알 수 없고

不能預交 不知險阻 `미리 걸칠 수 없고 산림이 험한지 모르고

不能行軍````````````````````막힌 못의 꼴을 몰라 군대를 움직일 수 없다

不用鄕導 不得地利 `향도 쓸 수 없음은 땅의 도움을 얻을 수 없다

非覇王兵 ```````````````````너 댓에 하나도 모르니 떨치는 군대아니다

覇伐大國 ```````````````````대저 떨치는 군대는 큰 나라를 토벌하니 그 무리

威加于敵 其交不合 `모이지 않고 적에 두려움 더해 그 외교 연합 못해

不爭天下 ```````````````````이래서 다투지 않음은 천하의 외교이다

不養天下 信己之私 `천하의 권량을 키우지 않고 자기를 믿는 옹졸함이다

威加於敵 其城可拔` 적에게 두려움을 더하게 해 그 성을 뺏을 수 있고

其國可隳 施無法賞 `그 나라를 무너뜨린다 법에 없는 상을 내리고

懸無政令 犯三軍衆` 다스림 없는 명령을 내어건다 삼군의 무리를 해친다

犯之以事 勿告以言` 한사람 부리듯 함 일로 범하니 말로 알리지 마라

犯之以利 勿告以害` 이익으로 범하니 해로움으로 알리지 말라

投亡地存 ``````````````````사라질 자리에 던져진 다음에도 남아있고

陷死地生 ``````````````````죽을 자리에 빠진 다음에도 살아있다

害後勝敗 ``````````````````대저 해로움에 여러 번 빠진 다음 이기고 지는 것이니

爲兵之事 在佯順敵 `그래서 군의 일 함은 적의 뜻에 거짓으로 따름에 있다

幷敵殺將 ```````````````````적과 어우러져 한바탕하니 천리에 장수를 죽임이다

巧能成事 ```````````````````이를 일러 기교라 일을 이룰 수 있음이다

政擧之日 夷關折符` 이래서 다스려 일으킨 날 변방관문의 지킴을 꺾음이다

無通其使 勵於廊廟 `그 사신 다니지 않아 종묘에서 받들어 모심에 힘쓴다

以誅其事 敵人開闔 `주살함이 그 일이라 적 문 열리면 반드시 빨리 들어가서

踐墨隨敵 ``````````````````먼저 아끼는 바를 짧게 준 짬에 먹 밟아 적을 쫓아

以決戰事 ``````````````````싸움을 벌이는 일이다 이래서 처녀 두듯 함에 비롯하고

敵人開戶 敵不及拒 `적이 문 열어 토끼 벗기듯 쫓으니 적은 막지 못한다


火攻篇第十二`````````````12. 불로 공격 불의 사용

`五火 火攻有五``````````````````` 孫子 말씀에 무릇 불로 공격함에 다섯이 있다

五者火人 火積火輜 `하나는 사람 불태움 둘은 쌓임 불태움 셋은 수레 불태움

火庫火隊 ```````````````````넷은 곳집 불태움 다섯은 부대 불태움이다

行火必因 煙火素具 `불 지르기 필히 까닭이 있고 불붙이기 필히 갖춤이 있다

發火有時 起火有日` 불 피움에 때가 있고 불 일으킴에 날이 있다

時者天燥 ```````````````````때란 날씨가 건조할 때이다

日者月在 箕壁翼軫 `날은 달이 기 벽 익 진의 별자리에 있을 때이다 28宿

此四宿者 風起之日 `무릇 이 네 자리란 바람이 이는 날이다

五火變應 ``````````````````무릇 화공은 필히 다섯의 변화를 따르고 응용 한다

發內應外 ```````````````````불은 안에서 피우고 이에 밖에서 바로 대응 한다

兵靜勿攻 ```````````````````불 피워도 그 군이 고요하면 아무튼 치지 말라

極火力從 ```````````````````그 화력이 가장 클 때 쫓을 수 있으니 쫓는다

不從發外 ```````````````````쫓을 수 없으면 멈추어라 불은 밖에서 피울 수 있음이고

時發上風 ```````````````````안에서의 대기는 없다 때맞춰 피우면 불은 바람을 탄다

晝久夜止 ```````````````````바람 자면 치지마라 낮 바람 오래가고 밤바람은 그친다

知五火變 ``````````````````무릇 군은 필히 다섯 불의 변화 있음을 알아야하고

以數守之 火佐攻明 `헤아려 지킨다 그래서 불을 써서 공격을 도움은 명석함

水佐攻强 ``````````````````물을 써서 공격을 도움은 강력함이다

水可以絶 不可以奪 `물은 건널 수 있으나 뺏을 수는 없다

戰勝攻取 不修功凶 `싸움 이겨 쳐 얻어 그 공로를 다스리지 않으면 흉하다

費留主慮 ```````````````````명령하길 씀 줄여라 이것이 밝은 군주의 걱정함이다

良將修之 非利不動 `좋은 장수는 잘 닦으니 이익이 아니면 움직이지 않고

非得不用 非危不戰 `얻음이 아니면 쓰지를 않고 위기 아니면 싸우지 않는다

主不可怒 ``````````````````군주는 성이 나서 군사를 일으키면 안 되고

將不可慍 ```````````````````장수는 화가 나서 싸움에 뛰어들면 안 된다

合利而動 不合利止 `이익에 맞으면 움직이고 이익에 어긋나면 그친다

怒可復喜 慍可復悅 `성냄은 다시 즐김이 되고 화냄은 다시 기쁨이 된다

亡不可存 ```````````````````나라를 잃음은 다시 남아있을 수 없고

死不可生````````````````````죽음이란 다시 살아날 수 없는 것이다

明君愼之 良將警之 `그래서 밝은 임금은 삼가고 좋은 장수는 살핀다

安國全軍 ```````````````````이것이 나라는 평안하고 군대는 보전하는 길이다

 

 

用間篇第十三``````````` 13. 간첩을 씀 간첩의 활용

興師十萬 出征千里` 孫子 말씀에 무릇 십만의 군사를 일으켜 천리를 치러가

百姓之費 公家之奉` 백성의 씀과 귀족의 바침이

日費千金 內外騷動` 하루에 천금을 써 안팎이 시끄럽고 길에서 지쳐

不得操事 七十萬家` 일을 잡아 못 얻음이 칠십만의 집이다

相守數年 爭一日勝` 수년을 서로 지켜도 싸움으로는 하루의 이김이고

愛爵祿金 不知敵情` 작록에 매이고 백금을 아껴서 적의 사정을 모름은

不仁之至 非人之將 `어질지 못함의 끝이요 사람들의 장수가 아니다

非主之佐 非勝之主 `임금을 보좌함이 아니며 승리의 주역이 아니다

明君賢將 以動而勝` 그래서 밝은 임금 어진 장수는 움직이면 남을 이긴다

出衆先知 ``````````````````무리에서 드러나 성공함이란 먼저 앎이다

不取鬼神 ``````````````````먼저 앎이란 귀신에게서 얻을 수 없고

不可象事 不可驗度 `일에서 본뜰 수도 없고 재어서 경험할 수도 없다

必取於人 知敵之情 `반드시 남에게서 얻어 적의 사정을 안다

`五間 用間有五 因間內間``그래서 간첩 씀에 다섯이 있으니 아는 간첩과 안에 간첩

反死生間`````````````````` 돌림 간첩과 알림 간첩과 틀린 간첩이다

五間俱起 莫知其道 `다섯 간첩이 함께 일어나니 그 도를 알 수가 없다

是謂神紀 人君之寶` 이를 일러 신기한 기강이라 임금의 보배이다

因間鄕人 ``````````````````아는 간첩이란 그곳 사람으로 쓰기 때문이고

內間官人 ``````````````````안에 간첩이란 그 안의 사람으로 쓰기 때문이고

反間敵間 ``````````````````돌림 간첩이란 그 적의 간첩을 쓰기 때문이고

死間誑事 ``````````````````알림 간첩이란 바깥으로 일을 속이게 함이다

令聞傳敵 ``````````````````내가 들려주어 알게끔 해 적의 간첩에게 알림이다

生間反報 ``````````````````틀린 간첩이란 뒤바꾸어 알림이다

三軍之事 莫親於間 `그래서 삼군의 일에 간첩보다 친밀한 것이 없다

賞莫厚間 事莫密間 `간첩보다 포상이 후할 수 없고 일 이룸에 긴밀할 수없다

聖智用間 ``````````````````간첩을 쓸 수 없으면 성인의 지혜가 아니다

仁義使間`````````````````` 간첩을 부릴 수 없으면 인자의 충의가 아니다

能得間實 ``````````````````간첩의 실리를 얻을 수 없으면 미묘함이 아니다

無所不用`````````````````` 미묘함이여 간첩 쓰지 못할 데가 없다

間事未發 而先聞者 `간첩의 일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도 먼저 들음이라

間所告死 ``````````````````간첩의 알려줌은 죽음에 두루 미친다

軍所欲擊 城所欲攻 `모든 군의 치려하는 바와 성의 치려하는 곳과

人所欲殺 先知守將 `사람을 죽이려하는 곳에 대해 필히 그 수장을 먼저 알고

左右謁者 舍人姓名 `좌우에 알현하는 자 문지키는 이 일보는 사람의 이름을

令間素知 ``````````````````우리 간첩으로 반드시 자세히 알아오게 하고

敵間來間 ```````````````````반드시 언제든 적의 간첩이 와서 우리를 염탐함이니

因而利之 導而舍之 `둘러서 이익이 되고 이끌어서 베푼다

反間得用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돌림 간첩을 얻을 수 있고 쓸 수 있다

因是而知 ```````````````````이런 까닭에 알게 됨이다 그래서 그 지역에서

內間得使 因是而知 `안에 간첩을 얻고 부린다 이런 까닭에 알게 됨이다

死間爲誑 ```````````````````그래서 알림 간첩은 빈 일에 속아서 적에게 알리게 된다

因是而知 生間可使 `이런 까닭에 앎이다 고로 틀린간첩으로 기대처럼 부린다

五間之事 君必知之` 다섯 간첩의 사정은 임금이 반드시 알아야 한다

知在反間 ``````````````````알게 됨은 반드시 돌림 간첩에 있다

反間可厚 ``````````````````그래서 돌림 간첩은 후하게 하지 않을 수 없다

殷興伊摯 ``````````````````이지가 하나라에 있어서 옛날 은나라가 일어났고

周興呂牙 ``````````````````여아가 은나라에 있어 주나라가 일어났다

明君賢將 ``````````````````그래서 생각하니 밝은 임금과 어진 장수는

能智爲間 ```````````````````뛰어난 슬기로 간첩의 일을 할 수가 있다

必勝大功 此兵之要 `반드시 이겨 큰일 해냄은 이 병법의 요지다

三軍恃動 ``````````````````삼군이 믿는 바이며 움직이는 것이다

[출처] 孫子兵法|작성자 johaser


http://blog.naver.com/johaser/120163710681


중국에서 사온 손자병법을 읽기 위함

Posted by 바평
,